
📰 라이브이슈KR 단독 — 전 경기도지사 남경필 전 지사가 마약 예방치유단체 ‘은구’ 활동을 본격화했습니다.
ⓒ MBC NEWS / YouTube 캡처
1️⃣ ‘ADHD 약을 통한 마약 입문’이라는 표현은 자극적이지만, 실제 현장에서 듣는 목소리는 더욱 절박합니다.
2️⃣ 남경필 전 지사는 “청소년·청년층이 처방약을 오·남용하다가 불법 마약으로 넘어가는 사례가 급증한다”면서 정부와 의료계의 공동 대응을 촉구했습니다.
3️⃣ 그는 아들의 마약 사건을 계기로 정계를 떠났으며, 현재는 마약 중독 예방·재활 플랫폼 구축에 전념하고 있습니다.
■ 단체 ‘은구’ 설립 배경
“죽어가는 청년을 살리겠다는 간절함이 ‘은(銀)처럼 빛나는 구원’이라는 이름으로 모였습니다.” — 남경필
4️⃣ ‘은구’는 ▲심리상담 ▲의료연계 ▲법률지원 ▲온라인 커뮤니티를 일원화해 중독자를 원스톱 케어하는 모델을 지향합니다.
5️⃣ ADHD 약 성분인 메틸페니데이트·암페타민이 불법 유통될 때, 초기 사용자는 이를 ‘집중력 강화제’로 오해하기 쉽습니다.
6️⃣ WHO·UNODC 통계에 따르면 15~24세 국내 약물 중독 건수는 5년 새 2.3배 증가했습니다. 전문가들은 “의약품 접근성이 중독 허들을 낮춘다”고 분석합니다.
ⓒ zum 뉴스
7️⃣ 남경필 전 지사는 SNS·유튜브 채널을 통해 실시간 상담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온라인 접근성이 곧 생명선”이라는 판단 때문입니다.
8️⃣ 의료계도 움직입니다. 대한신경정신의학회는 ‘ADHD 처방 가이드라인’ 개정을 예고하며, 환자·보호자 교육 의무화를 준비 중입니다.
9️⃣ 교육부는 9월부터 ‘학교 기반 중독예방 교육’ 시범사업을 실시해 초·중·고 단계별 맞춤형 교재를 배포합니다.
🔟 국회에서는 ‘중독 재활시설 확충법’과 ‘처방약 오남용 방지법’이 병합 심사 중입니다. 여야 모두 “예방이 곧 국방”이라며 초당적 협력을 강조합니다.
■ 해외 사례와 시사점
11️⃣ 호주 ‘Turning Point’ 센터는 24시간 스마트폰 앱으로 상담·약물 추적 서비스를 제공해 재범률 37% 감소 성과를 이뤘습니다.
12️⃣ 미국은 학교·가정·지역의 3중 모니터링 체계를 도입, ADHD 약 diversion(전용 외 유통) 적발 건을 40% 줄였습니다.
■ 시민이 할 수 있는 일
- 🔍 처방약 남용 의심 시 1339 또는 은구 핫라인(1522-0903) 신고
- 📱 SNS 해시태그 #ADHD약_안전사용 캠페인 참여
- 🤝 지역 보건소 ‘중독 ZERO’ 자원봉사 신청
13️⃣ 남경필 전 지사는 “정치 재도전은 없다”면서도, “입법·예산 협조를 위해 언제든 국회를 찾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14️⃣ 전문가들은 “전직 고위 공직자가 실질적 경험을 바탕으로 정책·현장 간 간극을 좁히는 사례”라며 긍정적으로 평가합니다.
15️⃣ 총평 — ‘ADHD 약으로 시작된 마약 중독’ 문제는 더 이상 남의 이야기가 아닙니다. 남경필·‘은구’·정부·시민사회가 ‘4각 협력’을 이룰 때, 우리 사회는 마약 청정국을 되찾을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