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cdn.imweb_.methumbnail202505099308327eb6353.png

카트만두 시위 현장


네팔 카트만두 도심이 또다시 뜨거운 함성으로 뒤덮였습니다. 8일(현지시간) 정부가 내렸던 소셜미디어(SNS) 차단령은 철회됐지만, 부정부패와 경제난에 대한 젊은 층의 분노가 걷잡을 수 없이 번지고 있습니다.

이번 네팔 시위Z세대가 주축입니다. 현지 대학생 프라팀 가와차르는 “25년에도 우리는 여전히 꿈을 억압받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시위의 직접적 계기는 정부가 “가짜 뉴스 확산 방지”를 이유로 YouTube·TikTok·페이스북 등 주요 플랫폼 접속을 차단한 조치였습니다. 그러나 거리로 나온 사람들은 “우리가 원하는 건 단순한 접속 권리가 아니라 투명한 정치”라고 외쳤습니다.

경찰과의 충돌로 19명이 목숨을 잃었고, 200여 명이 부상했습니다.*로이터 통신 집계 현장 의료진은 최루탄과 고무탄으로 인한 호흡기·안구 손상 사례가 급증했다고 전했습니다.

“SNS 차단은 불씨였을 뿐, 썩은 시스템을 바꾸라는 외침이 거리에 울려 퍼지고 있습니다.” – 네팔 인권위원회(NHRC) 성명 중

사태가 확산되자 푸슈파 카말 다할 총리는 긴급 기자회견을 열어 “사회적 소통의 자유를 존중한다”며 차단령을 공식 철회했습니다. 그러나 야권은 조기 총선전면 개각을 요구하며 거센 공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시위대와 경찰 충돌

전문가들은 이번 네팔 Z세대 시위를 2006년 민주화 혁명 이후 최대 규모로 평가합니다. 카트만두 트리부반대 국제정치학과 나빈 라즈 교수는 “경제 침체·청년 실업·공공 부패가 복합적으로 터져 나온 결과”라고 분석했습니다.

실제로 네팔의 청년 실업률은 19.2%(2024년 ILO)로, 남아시아 평균(13.6%)을 크게 상회합니다. 여기에 물가 상승률 8.7%가 겹치면서 생활고가 심화됐습니다.

국제사회도 우려를 표했습니다. 유엔인권최고대표사무소(OHCHR)는 “시위 진압 과정에서의 과도한 공권력 사용 여부를 조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미국 국무부와 EU 외교부 역시 “표현의 자유 보장”을 촉구하는 공동 성명을 냈습니다.


한국 외교부는 9일 새벽 긴급 안전 공지를 통해 카트만두 더르바르마르그·트리푸반 채육장 일대방문 자제 지역으로 지정했습니다. 현지 체류 중인 국민은 출입국관리국(1661-9110)으로 연락해 재외국민등록을 완료해야 안전 인력이 즉시 파견될 수 있습니다.

시위 장기화는 관광 산업에도 직격탄입니다. 히말라야 트레킹 시즌(10~11월)을 앞두고 주요 여행사 예약 취소율이 40%에 달한다는 집계가 나왔습니다. 네팔 중앙은행은 “분기별 외화 수입이 25% 감소할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정치적 후폭풍도 만만치 않습니다. 연립 정부 내부에서조차 “세대 갈등을 해소하려면 부패 척결일자리 창출이 급선무”라는 목소리가 커지는 상황입니다.

“디지털 권리를 빼앗으면 결국 민주주의의 뿌리가 흔들립니다. 네팔 시위는 우리 모두에게 온라인·오프라인 자유의 가치를 재확인시켜 주고 있습니다.” – 아디티야 샤르마, 네팔 인터넷협회 회장

전문가들은 향후 2주가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정부와 야권·시민단체 간 대화가 성사되지 않을 경우, 전국적 총파업이 현실화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옵니다.

🕊️ 네팔 시민들의 평화적 해결을 기원하며, 라이브이슈KR은 현지 상황을 계속해서 모니터링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