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ktcu_.or_.krhumanframethememoassetsimagescommonicon_foot_mark4.png

📱 단통법 폐지가 불러올 통신 시장 대격변

정부가 2025년 7월 22일 이동통신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이하 단통법)을 공식 폐지하기로 하면서 국내 휴대폰 유통 생태계가 요동치고 있습니다.


통신사 매장 앞 광고판
출처: 한국경제

단통법은 2014년 10월 시행됐습니다. 당시 휴대폰 지원금(보조금) 차별을 막고 시장 투명성을 높이겠다는 취지였습니다.

법 시행 이후 공시지원금추가지원금이 명문화돼 ‘호갱 방지’에 기여했다는 평가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10년이 흐르며 ‘가격 왜곡·자급제 열풍·알뜰폰 성장’ 등 예상치 못한 부작용이 불거졌습니다. 특히 공시지원금 상한선(한때 33만 원) 때문에 소비자 체감 가격이 높아졌다는 지적이 컸습니다.

결국 정부·국회·소비자단체가 한목소리로 개정·폐지를 논의했고, 2025년 7월 22일부로 단통법 전면 폐지가 확정됐습니다.


“단통법 폐지는 과열 경쟁을 막던 장벽을 걷어내는 동시에 지원금 폭탄 재등장의 신호탄이 될 것입니다.” ― ICT 전략연구원 전성민 연구위원

법이 사라지면 통신 3사는 지원금 공시 의무에서 벗어나 ‘비공시 현장 지원금’을 대폭 늘릴 수 있습니다. SKT의 위약금 면제 지시도 같은 흐름으로 해석됩니다.

LG유플러스와 KT는 가입자 쟁탈전을 준비 중입니다. ‘아이폰·갤럭시 최신형 0원’ 문구가 다시 등장할 가능성도 큽니다.


스마트폰 판매대
출처: 한국경제 via Daum

휴대폰 판매처 역시 재편됩니다. 자급제 온라인 몰은 가격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알뜰폰 요금제·카드 결합 할인폭을 키울 전망입니다.

반면 오프라인 대리점·판매점은 ‘현장 즉시할인’을 미끼로 고객을 끌어모을 예정입니다. 깜깜이 계약서 위험도 커지는 만큼 소비자 주의가 요구됩니다.


소비자 체크리스트 5 📝

  1. 지원금 구조 확인: 공시·현장·카드 할인 항목을 구분합니다.
  2. 자급제 vs 약정 비교: 총비용(TCO) 기준으로 24·36개월치 계산합니다.
  3. 알뜰폰 요금제 활용: 5G·LTE 무제한 월 2만 원대 요금도 등장했습니다.
  4. 위약금 면제 기간 점검: SKT 외 타사도 한시 면제 가능성 존재합니다.
  5. 계약서 서명 전 사진 촬영: 분쟁 시 결정적 증거가 됩니다.

🎯 “호갱 탈출의 열쇠는 정보력”


업계는 시행령 공백을 우려합니다. 방통위 기능 마비로 후속 규정이 확정되지 않으면 ‘깜깜이 판매’가 일상화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학계에서는 전자적 가격 공시 플랫폼 구축과 지원금 내역 SMS 고지 의무화를 대안으로 제시합니다.


📊 글로벌 트렌드도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미국·일본은 자급제 활성화약정 자유화를 병행해 통신비를 낮췄습니다. 국내 시장도 유사한 궤적을 그릴 가능성이 높습니다.

전문가들은 “단통법 폐지통신비 인하지원금 확대라는 상반된 시나리오를 동반한다”고 강조합니다.


마지막으로 라이브이슈KR는 소비자에게 다음과 같이 조언합니다. ① 정보 비교 ② 서류 보관 ③ 과열 마케팅 경계를 통해 합리적 소비를 실현하시기 바랍니다.

단통법 폐지까지 18일, 변화의 물결을 기회로 바꾸는 것은 바로 당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