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news.nateimg.co_.krorgImgtr202507031d95fb49-42a5-4c8b-be33-cda52b9a5df3.jpg

🔥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전산센터에서 발생한 화재가 10시간여 만에 초진됐습니다. 이번 사고로 70여 개 정부 온라인 서비스가 중단되면서 국민 불편이 확산됐습니다.


🚒 소방당국은 26일 오후 8시 15분쯤 배터리실에서 시작된 불길을 진화하기 위해 고층화재 대응 2단계를 발령했습니다. 리튬이온 배터리의 연소 특성 때문에 고열유독가스가 발생해 진화가 더뎠습니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현장ⓒ 조선일보

행정안전부는 즉시 중앙사고수습본부를 가동해 전산 복구와 데이터 보호에 나섰습니다.

데이터 무결성을 지키는 것이 최우선 과제입니다” – 행안부 관계자


💻 현재 모바일신분증, 국민신문고, 정부24 등 주요 서비스가 불통 상태입니다. 지자체 역시 민원 발급 시스템이 작동하지 않아 창구 업무 지연이 발생했습니다.

전문가들은 “이원화 센터 구축에도 불구하고 핵심 서버가 집중된 본원에서 화재가 발생해 트래픽 우회가 원활하지 않았다”고 분석합니다.

밤샘 진화 작업ⓒ MBC


⚙️ IT업계는 ‘국가정보 보안’ 기준 재정비가 불가피하다고 지적합니다. 클라우드 전환 속도가 느린 공공부문이 온프레미스 장비에 의존하다보니 물리적 리스크가 컸다는 것입니다.

정부는 백업 데이터를 활용해 우선순위 서비스부터 단계적으로 복구할 계획입니다. 모바일 신분증은 27일 밤, 정부24는 28일 새벽 정상화가 목표입니다.


📝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은? 2005년 출범한 행안부 산하기관으로, 중앙부처·지자체·공공기관 900여 시스템을 운영합니다. ‘정부 전산망의 심장’으로 불리며, 대전 본원·광주·대구·세종센터에서 연중 24시간 체계를 유지합니다.

국가전략정보 인포그래픽ⓒ 국회도서관

❗ 이번 사고는 데이터센터 재해복구(DR)의 중요성을 다시 일깨웠습니다. 전문가들은 멀티리전·멀티클라우드 전략을 제안하며, “정부도 민간 수준의 재난 대응 시나리오를 갖춰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 김민석 국무총리는 “국가정보 시스템 장애로 인한 국민 피해를 최소화하라”고 지시했습니다. 행안부는 전 부처에 수기 대응 매뉴얼을 배포해 민원 공백을 줄이고 있습니다.

현장에는 한국전력·KT·삼성SDI 등 민간 기술진도 투입돼 배터리 열폭주 분석과 안전 조치를 병행합니다.

데이터 훼손 우려ⓒ 중앙일보


📊 피해 규모는 아직 집계 중입니다. 일부 서버 랙이 전소됐지만, 핵심 스토리지 어레이는 방화벽 덕분에 큰 손상을 피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기상청·질병관리청 등 실시간 데이터 수집 기관은 예비망으로 전환했으나, 데이터 지연은 불가피합니다.


🌐 시민들은 SNS에서 “정부24 안 열려서 주민등록등본 못 받았다”, “카드 재발급 신청이 멈췄다” 등 불편을 토로했습니다. 전문가들은 B2G 시스템에 대한 분산형 접근 필요성을 재차 강조합니다.

행안부는 국가사이버안전센터와 합동으로 해킹 가능성 여부도 조사 중입니다. 현재까지 외부 침입 흔적은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 향후 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예상:

  • 27일 22시 – 1차 핵심 서비스 복구
  • 28일 10시 – 2차 부처별 업무 시스템 정상화
  • 30일      – 사고 원인 조사 결과 중간 발표

정부는 “완전 정상화까지 3~4일이 소요될 것”이라며 국민 협조를 당부했습니다.


🔍 라이브이슈KR 취재 결과, 전문가들은 이번 화재를 계기로 국가정보 거버넌스 전반을 재점검해야 한다고 입을 모읍니다. 백업·복구뿐 아니라 친환경·난연 설비, 자동소화 시스템 업그레이드가 관건입니다.

국가정보 인프라는 디지털 시대 국가 경쟁력의 핵심입니다. 정부가 신속한 복구와 함께 중장기 재발 방지책을 마련할지 주목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