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cdn.imweb_.methumbnail202505099308327eb6353.png

🔥 26일 밤, ‘대전 국정자원’으로 불리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센터에서 화재가 발생했습니다. 이번 사고로 정부24·국민신문고·모바일 신분증70개 정부 온라인 서비스가 차례로 멈췄습니다.


사고는 26일 20시 15분께 UPS(무정전 전원장치)실 리튬배터리 모듈에서 시작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소방당국은 장비 31대와 인력 80여 명을 투입해 22시 30분경 큰불을 잡았으며, 경상 1명※외주업체 직원 외 추가 인명 피해는 없다고 밝혔습니다.

화재 현장 진화 모습
▲ 이미지 출처: 연합뉴스


대전 국정자원은 중앙·지방정부 1,400여 개 시스템을 호스팅하며, 공공 클라우드의 허브 역할을 합니다.” – 행정안전부 관계자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센터는 ▲행안부 통합전산센터차세대 전자정부 클라우드차세대 여권 발급 시스템 등을 보유합니다. ‘국정자원’이라는 키워드는 바로 이 거대한 국가 디지털 인프라를 가리키는 용어입니다.

가장 큰 피해는 주민등록표 등본 출력, 각종 온라인 민원, 행정·통계 데이터 처리에서 나타났습니다. 주민들은 무인민원발급기조차 일시 중단돼 현장에서 불편을 겪었습니다. 일부 지방자치단체는 팩스·우편으로 대체 서류를 받아 처리했습니다.


행안부는 “1등급 12개·2등급 58개 시스템을 우선 복구 목록으로 지정했고, 27일 새벽 3시부터 단계적 전원 재투입을 시도한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데이터 무결성전력 안정성이 확인될 때까지는 완전 정상화가 어렵습니다.

전문가들은 “리튬이온 UPS는 고밀도·고효율이 장점이지만, 열폭주에 취약하다”며, 냉각·소화 시스템과 AI 기반 조기감지를 의무화해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이번 대전 국정자원 화재2022년 서울 AIDC 화재, 2024년 부산 해양데이터센터 정전과 맥락을 같이합니다. 대규모 전산실 사고가 반복되면서, 정부·기업 모두 멀티 리전 DR(재해복구) 전략이 화두로 떠올랐습니다.

행안부는 “세종·광주 센터로의 로드 밸런싱을 가동했으나, 실시간 이중화되지 않은 시스템이 많아 중단을 막지 못했다”고 인정했습니다.


🎯 시민이 지금 할 수 있는 대처 방안

  • 주민등록 등·초본, 가족관계증명 등 민원은 읍·면·동 민원실 방문 발급
  • 여권·운전면허 갱신은 시·군·구 민원실 또는 경찰서 직접 방문
  • 국민신문고 민원은 전화 110 또는 우편 접수 임시 운영
  • 모바일 신분증 사용처에는 실물 신분증 지참

소방대원 진입
▲ 이미지 출처: 중앙일보


IT 업계는 이번 ‘대전 국정자원 사태’를 계기로, 리튬 UPS 대신 니켈·인산철 배터리친환경 수냉식 모듈 도입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또한 클라우드 엣지 존을 이용한 분산 서비스가 공공영역까지 확장될 전망입니다.

한편,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측은 “사흘 내 모든 정부 서비스를 정상화하겠다”고 밝혔지만, 전문가들은 “데이터 검증·재가동 테스트를 거치면 최소 5~7일이 걸릴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디지털 정부의 핵심은 속도가 아니라 안정성입니다. 이번 대전 국정자원 화재는 클라우드 백본 다중화와 전력 안전 매뉴얼 확립을 요구하는 경고음입니다.” – 한국데이터진흥원 김진수 책임연구원


🛠️ 향후 과제

  1. 재해복구 계획 전면 재점검 및 법제화
  2. 배터리·냉각 설비에 대한 디지털 트윈 기반 모니터링
  3. 클라우드 멀티 리전·액티브-액티브 구조 의무화
  4. 국가·지자체 합동 ‘디지털 안전훈련’ 정례화

이번 사고는 단순한 화재가 아닌 ‘디지털 국방선’에 균열이 생긴 사례입니다. 대전 국정자원 복구 속도가 우리 사회의 디지털 신뢰 회복 속도를 결정할 것입니다.

라이브이슈KR는 복구 과정서비스 정상화 일정을 지속 추적해 독자 여러분께 가장 빠르고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