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news.nateimg.co_.krorgImghk2025070301.41006351.1.jpg

두산 그룹은 1896년 창립 이후 129년 동안 한국 산업화의 굴곡을 함께한 장수 기업입니다. 맥주·소비재로 시작한 두산은 에너지·중공업·스포츠로 보폭을 넓히며 ‘초격차 DNA’1)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최근 주가 지표를 보면 두산에너빌리티가 8만 원 선을 지키며 시가총액 10조 원대를 회복했습니다. 전문가들은 원전·수소·풍력이라는 ‘트리플 모멘텀’을 긍정적으로 평가합니다.

“2030년 글로벌 원전 수주액 12조 원 달성”– 두산에너빌리티 IR 자료

와 같은 공격적 목표치는 기관투자자들의 시선을 붙잡고 있습니다.


신규 성장 축으로 꼽히는 두산로보틱스는 협동로봇 시장 점유율 1위를 굳히며, IPO 이후 4조 6,000억 원 시총을 유지 중입니다. 삼성·애플·테슬라 공정 자동화 수주 소식이 잇따르자 외국계 증권사는 목표가를 9만 5,000원까지 상향 조정했습니다.

두산로보틱스 협동로봇

사진 출처: Wikimedia Commons


에너지·로봇 못지않게 두산 베어스의 가을야구 행보도 팬들의 관심사입니다. 허슬두(HUSTLE DOO) 캐치프레이즈 아래, 베테랑 김재환과 신예 강승호가 타선을 이끌며 플레이오프 5차전 진출을 노립니다.

팀 평균자책 3.65, 타율 0.272는 리그 3위권 성적으로, ‘정통 강팀’ 이미지를 되살렸습니다.


스포츠 마케팅 효과는 사업 전반에 파급됩니다. 상품권·유니폼·콜라보 굿즈 매출이 전년 대비 38% 증가했고, 철웅이 로봇 마스코트 출시로 MZ세대 유입이 가속화됐습니다.

그룹의 ESG 경영 역시 눈에 띕니다. 두산은 작년 RE100 가입과 동시에 풍력터빈 블레이드 재활용 기술을 국내 최초로 상용화했습니다. 탄소배출을 연 12만 톤 절감해 ‘AA’ 등급을 획득했습니다.


채용 시장에서도 두산디지털이노베이션 인턴십 프로그램 문의가 폭주하고 있습니다. AI·클라우드·사이버보안 실무 경험을 제공하며, 90% 이상 정규직 전환율을 자랑합니다.

두산타워

사진 출처: Wikimedia Commons


두산타워와 ‘DDP(동대문 디자인 플라자)’를 잇는 상권 재생 프로젝트는 연간 방문객 1,100만 명을 끌어들이며 리테일 사업의 새 먹거리로 부상했습니다.

해외로 눈을 돌리면, 사우디 네옴·미국 SMR·베트남 풍력 등 메가 프로젝트 수주가 대기 중입니다. 이는 글로벌 매출 비중 60% 달성이라는 청사진을 가능케 합니다.


물론 위기도 있었습니다. 두산중공업 구조조정과 유동성 위기2020는 그룹 철학을 바꾸는 계기가 됐습니다. ‘선택과 집중’ 전략으로 비핵심 자산을 매각해 재무 건전성을 되살렸습니다.

전문가들은 수소 터빈·협동로봇·원전이라는 고부가가치 포트폴리오가 중장기 PER 15배까지 리레이팅될 여지가 충분하다고 평가합니다.


결국 두산은 ‘산업의 심장’과 ‘스포츠의 열정’을 모두 품은 독특한 기업입니다. 투자자는 안정적 현금흐름과 미래 성장성을, 취업 준비생은 글로벌 프로젝트와 디지털 전환을, 야구 팬은 가을야구의 짜릿함을 동시에 누릴 수 있습니다.

두산의 다음 100년은 기술, 인재, 팬 커뮤니티가 함께 만들어 갈 무대입니다. 지금이 바로
두산을 주목해야 할 순간
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