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라이엇 게임즈(Riot Games), 2025년 하반기 핵심 이슈 한눈에 보기
e스포츠를 대표하는 기업 라이엇 게임즈가 리그 오브 레전드(LoL)·발로란트 등 주요 타이틀 업데이트와 함께 글로벌 팬덤을 사로잡고 있습니다.
첫 번째 화두는 LCK 서머 결승과 맞물린 LoL 2025 시즌 로드맵입니다. 라이엇은 프리시즌 폐지 이후 ‘패치 캘린더 고정’ 정책을 도입해 경쟁 밸런스를 안정화했습니다.
특히 ‘용·바론 강화 스택 개편’과 ‘정글 캠프 AI 개선’이 핵심으로, 프로·솔로랭크 모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우리는 플레이어의 피드백을 기반으로 경쟁의 공정성을 최우선 가치로 두고 있습니다.”
– 라이엇 게임즈 개발 총괄 실비아 코어디(Sylvia Cordy)
두 번째 이슈는 🔥 T1 2024 월즈 우승 스킨입니다. 9월 11일 출시 예정인 이번 스킨 세트는 제드·리신·아리·오른·자야 5종으로 확정됐습니다.
라이엇은 “선수 요청 사항을 100% 반영했다”며, 색상 팔레트와 인게임 효과음의 세부 스토리를 29일 추가 공개할 계획입니다.
출처: X(@lol_soo9)
세 번째로, 발로란트 모바일 중국 출시가 e스포츠 시장 확장을 가속하고 있습니다. LIGHTSPEED STUDIOS와의 합작으로 개발된 이 버전은 터치 전용 조작 최적화와 90FPS 지원을 내세웠습니다.
국내 정식 출시 일정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2026년 상반기 CBT” 가능성이 점쳐집니다.
네 번째로 눈길을 끄는 것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공지입니다. 라이엇은 9월 12일부터 ‘연령 구간별 맞춤 광고 제한’을 시행해 미성년자 보호를 강화합니다.
이와 함께 ‘데이터 포터블리티(이동권)’ 조항을 신설해 이용자가 자신의 게임 데이터를 손쉽게 내려받을 수 있도록 했습니다.
다섯 번째 이슈는 🏆 LCK 5연속 흥행 기록입니다. 게임트릭스 집계 기준, LoL은 369주 연속 PC방 점유율 1위를 이어가며 점유율 34.19%를 달성했습니다.
중계 플랫폼 동시 시청자도 전년 대비 18% 증가해 ‘국민 게임’ 위상을 재확인했습니다.
여섯 번째, 라이엇 스토어 굿즈가 MZ세대 소비 트렌드를 선도 중입니다. 포로 인형·챔피언 미니 피규어는 SNS에서 ‘#겜덕템’ 해시태그로 화제를 모으며 재고가 동난 상태입니다.
출처: 위시버킷
일곱 번째 이슈는 e스포츠 생태계 투자 확대입니다. 라이엇은 2025년 3분기 기준 ‘지역 아카데미 리그’에 1,500만 달러를 추가 투자해 신인 발굴을 가속합니다.
또한 친환경 경기장 조성 계획을 공개하며, 2030년까지 탄소 중립 목표 달성을 약속했습니다.
여덟 번째, AI 기반 리플레이 하이라이트 기능이 베타 테스트를 시작했습니다. 이 기능은 플레이어의 인상적인 순간을 자동 편집해 SNS 공유를 돕습니다.
베타에 참여한 유저들은 “방송국 퀄리티 클립을 클릭 한 번으로 만든다”라며 호평했습니다.
아홉 번째 이슈는 📱 Riot Mobile 앱입니다. 최근 업데이트로 멀티 게임 계정 통합과 양방향 보안 토큰이 도입돼 계정 도용 사고를 40% 줄였습니다.
또한 실시간 패치 노트 알림 기능이 추가돼 프로 선수·스트리머가 즉시 전략을 조정할 수 있게 됐습니다.
열 번째, 라이엇 e스포츠 국제 일정입니다. 10월 LoL 월드 챔피언십이 파리에서, 11월 발로란트 챔피언스가 도쿄에서 열린 후, 12월 초대형 올스타전이 서울 고척돔에서 개최됩니다.
라이엇은 “현장 관객 10만 명, 온라인 시청 2억 명을 목표”로 밝히며 ‘초연결 축제’를 예고했습니다.
마지막으로, 🎯 라이엇의 장기 비전은 ‘플레이어 중심, 기술 혁신, 지속 가능성’ 3대 키워드로 압축됩니다.
업계 전문가는 “라이엇이 게임·미디어·굿즈·인프라를 아우르는 ‘종합 엔터테인먼트 기업’으로 도약 중”이라 평가합니다.
라이브이슈KR은 앞으로도 라이엇 게임즈가 만들어갈 e스포츠의 다음 장(章)을 지속적으로 추적·보도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