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라쿠텐, 일본을 넘어 아시아 소비자를 사로잡다
라쿠텐은 일본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으로 출발했으나, 최근에는 글로벌 쇼핑 허브로 자리매김했습니다. 한국 이용자도 일본 현지 가격으로 다양한 상품을 구매할 수 있어 관심이 높습니다.
🌍 국경을 초월한 이커머스 전략
엔화 약세와 함께 라쿠텐 직구 검색량이 급증했습니다. 회사 측은 관부가세 계산기와 한국어 고객센터를 강화해 장벽을 낮추고 있습니다.
출처: Wikimedia Commons
⚡ 슈퍼 세일 기간에는 최대 70% 할인과 적립 포인트 10배 이벤트가 동시 진행돼 체류 시간을 늘리고 있습니다.
🛫 라쿠텐 트래블, 개별 여행객의 새로운 항공·호텔 플랫폼
팬데믹 이후 자유 여행 수요가 폭발하면서 라쿠텐 트래블 예약 건수가 전년 대비 34% 성장했습니다.1 특히 도쿄, 오사카뿐 아니라 지방 온천 료칸까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호평입니다.
“한국어 리뷰가 많아 믿음이 갔다” – 부산 거주 30대 직장인 A씨
여행자가 직접 작성한 사진·후기가 노출돼 전환율이 평균 18%p 상승했다는 내부 자료도 확인됐습니다.
📶 통신까지 품은 라쿠텐 모바일
5G 자가망 구축으로 주목받은 라쿠텐 모바일은 eSIM 서비스 범위를 동아시아로 확장했습니다. 한국 방문객은 일본 현지 번호를 1분 만에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업계는 통신·커머스·핀테크를 통합한 ‘라쿠텐 에코시스템’이 멤버십 락인 효과를 강화할 것으로 분석합니다.
💳 라쿠텐 카드·페이, 핀테크로 넓히는 생태계
현지에서 라쿠텐 카드 결제액은 연 150조 원 규모2024 회계연도 기준로 성장했습니다. 라쿠텐 페이는 QR결제 외에도 암호화폐 포인트 전환을 시범 도입해 차별화를 시도합니다.
한국 사용자는 일본 가맹점에서 결제한 뒤 포인트를 항공권·호텔 예약에 재사용할 수 있어 폐쇄형 혜택보다 효율적입니다.
⚾ 스포츠 마케팅: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프로야구단 운영은 브랜드 충성도를 높이는 핵심 수단입니다. 구단 홈경기장인 ‘라쿠텐 모바일 파크’에서는 eSIM 홍보 부스를 운영해 관객 10명 중 3명이 당일 가입했습니다.
팀 성적이 상승세를 탄 2025 시즌에는 중계 시청률도 8.4%로 올라, 광고·굿즈 매출이 전년 대비 22% 확대됐습니다.
📈 한국 판매자를 위한 입점 가이드
최근 K-푸드, K-뷰티 브랜드 300곳이 라쿠텐 글로벌 마켓에 신규 입점했습니다. 셀러센터에서 한글 메뉴로 상품 번역, 물류대행 신청이 가능해 진입장벽이 낮아졌습니다.
TIP: 일본 소비자는 ‘간편포장·친환경’ 키워드에 민감하므로, FSC 인증 패키지를 사용하면 검색 상위 노출 확률이 높습니다.
🚚 배송·관세 체크포인트
직구 시 1만 엔 이하 상품은 목록통관으로 간주돼 절차가 간소합니다. 하지만 식품·의약품류는 별도 서류가 필요하니 주의해야 합니다.
관세청 전자통관 시스템과 라쿠텐 통합 트래킹을 연동하면, 통관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위조품·환불 정책 숙지
라쿠텐은 RPP(Rakuten Protect Program)을 운영해 위조품 신고 시 100% 환불을 보장합니다. 반품 신청은 ‘상품 수령일 포함 7일 이내’로 제한되어 있어 기한을 놓치지 말아야 합니다.
🔮 전망과 과제
전문가들은 AI 개인화 추천과 화물 드론 배송이 3년 내 상용화될 것으로 내다봅니다. 또한 한국·대만·호주를 잇는 삼각 물류 허브 구축이 완료되면 배송 리드타임이 최대 40% 단축될 전망입니다.
다만 통신 부문 적자를 극복하고, 지속 가능한 이익 구조를 안착시키는 것이 최대 과제입니다.
✅ 결론
라쿠텐은 ‘커머스·여행·핀테크·통신·스포츠’로 이어지는 다층적 생태계를 통해 소비자의 전 생활 영역을 연결하고 있습니다. 한국 소비자·판매자 모두 기회가 확대되는 만큼, 정책 변화와 프로모션 일정을 상시 체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라이브이슈KR는 앞으로도 라쿠텐 관련 최신 동향과 실용 정보를 신속히 전달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