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photo.jtbc_.co_.krnewsjam_photo20250702f8e48687-bac6-46be-b1a1-86ea6ec45d24.jpg

🎮 글로벌 메타버스 대표 주자 로블록스(Roblox)가 다시 한 번 주목받고 있습니다.


로블록스는 매달 2억 명 이상이 접속하는 거대 플랫폼입니다. 그러나 최근 미국 루이지애나주 법무장관이 제기한 ‘아동 안전 소송’으로 인해, 이용자 보호 장치가 화두로 떠올랐습니다.

소송의 핵심은 미성년자 대상 부적절 콘텐츠입니다. 일명 ‘욕실 게임’으로 불리는 17+등급 경험이 여전히 미성년에게 노출되고 있다는 지적이었습니다.


🛡️ 이에 대해 로블록스 측은 연령 인증 절차 고도화·AI 필터링 확대·개발자 정책 수정 등을 발표했습니다. (출처 : Roblox 공식 블로그)

또한 자체 콘텐츠 레이팅을 미국 ESRB·애플 앱스토어 기준과 연동해 17+ 구역을 별도로 분리했습니다.

17+ 경험 관련 트윗 캡처

이미지 출처 : X(@KreekCraft)


🚀 한편, 국내 로블록스 개발자 커뮤니티는 이번 이슈를 ‘기회와 위기’로 해석합니다.

“신뢰를 얻기 위한 정책 변화는 궁극적으로 크리에이터에게도 이익” — 한국 로블록스 개발자 포럼 인터뷰

실제 로블록스는 2024년 상반기, UGC 아이템 로열티를 40%까지 확대해 개발자 수익을 크게 늘렸습니다.

하지만 안전 기능을 무시할 경우 계정 정지·수익 지급 보류가 동시에 이루어져 국내 창작자들도 더욱 엄격한 점검이 요구됩니다.


📊 한국 이용자는 약 800만 명(모바일 앱·PC 합산 추정)으로 매년 15%씩 증가합니다. 초등학생 비중이 70%를 넘는 만큼, 학부모의 감독은 필수입니다.

보호자 설정 3단계 가이드
① ‘Account PIN’을 활성화해 설정 변경을 잠금
② ‘Experience Restrictions’에서 9세·13세·17세 이상 카테고리 지정
음성 채팅(Spatial Voice)은 만 13세 이상 실명·신분증 인증 후 사용할 것

로블록스 보호자 설정 화면

이미지 출처 : Roblox 보도 자료


⚖️ 법률적으로는 미국 COPPA·KOSA 개정안, 국내 정보통신망법·게임산업진흥법이 동시에 적용됩니다. 전문가들은 “해외 판결이 국내 규제 강화로 이어질 가능성”을 지적합니다.

특히 개인정보 보호(Age Verification) 실패 시 최대 4%의 글로벌 매출 과징금이 부과될 수 있어, 플랫폼뿐 아니라 개발자도 책임 범위를 숙지해야 합니다.


🎓 교육계는 여전히 로블록스 클래스룸·스튜디오 코딩 캠프 등 ‘메타버스 러닝’ 장점에 주목합니다. 서울 일부 초등학교는 협업·창의 수업 도구로 로블록스를 채택해 ▶협동형 문제 해결 ▶스토리텔링 코딩 수업을 진행 중입니다.

하지만 교육용 서버 역시 화이트리스트 경험만 허용하도록 설정해야 하며, 링크 배포·음성 채팅 차단이 권장됩니다.


💡 앞으로 주목할 5가지 변화
AI 콘텐츠 검열 실시간 적용
페이스 트래킹 아바타 도입으로 개인정보 이슈 확대
전 세계 통합 광고 시스템 시행 — 청소년 타깃 광고 가이드라인
블록체인 기반 아이템 보안 연구
국가별 법규 자동 매칭 설정 기능

✔️ 요약로블록스는 한편으로 ‘새로운 기회’, 다른 한편으로 ‘강화된 책임’이 공존합니다. 플랫폼·개발자·학부모·정책 입안자 모두가 협력해야만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메타버스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끝으로 독자 여러분께 ‘오늘 당장 점검할 체크리스트’를 제안합니다.
1) 자녀 계정 보호자 설정 확인
2) 개발 중인 경험의 연령 등급·채팅 필터 확인
3) 플랫폼 업데이트 공지 구독
4) 법적 가이드라인 정기 점검

📝 라이브이슈KR은 앞으로도 로블록스 관련 안전·정책·트렌드를 지속적으로 취재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