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몽골 북부 불간주(Province Bulgan)의 오랑터거(Uran Togoo) 화산에서 20대 한국인 여행 인플루언서 A씨가 추락해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외교부는 5일 “지난달 28일(현지시간) A씨가 화산 분화구 외곽 절벽에서 사진 촬영 중 강풍에 중심을 잃고 40m 아래로 떨어졌으며, 현장에서 즉시 사망이 확인됐다”고 밝혔습니다.
사고 지점은 분화구 형태가 뚜렷한 휴화산으로, 정상부에 난 좁은 산책로 외에는 별도의 안전 난간이 설치돼 있지 않습니다.
“몽골 정부와 협력해 정확한 사고 경위를 조사하고 있으며, 유족의 현지 장례 절차를 지원 중입니다.” — 외교부 관계자
현지 관광청도 즉각 일시적 출입 통제를 결정했습니다.🚧
A씨는 SNS 팔로워 9만여 명을 보유한 여행·사진 크리에이터로, ‘#몽골로드트립’ 콘텐츠 제작을 위해 단독 촬영 여행을 진행 중이었습니다.
同行 가이드 증언에 따르면 “1분화구 전경을 담으려다 갑작스러운 돌풍이 불었고, 미끄러운 화산암 지대에서 발을 헛디뎠다”고 합니다.
몽골 기상청은 사고 당일 초속 17m 수준의 돌풍이 관측됐다고 밝혔습니다.
▲ 사고 직후 현지 취재진이 촬영한 오랑터거 화산 정상. (사진 출처: 위키트리)
이번 사고로 몽골 관광업계는 ‘안전 가이드라인 강화’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졌습니다.
관광청 관계자는 “안전펜스·경고 표지 설치, 의무 가이드 동행 등 화산 관광 안전 매뉴얼을 새로 마련하겠다”고 전했습니다.
전문가들은 몽골 화산 지대를 찾을 때 ① 기상 확인 ② 방한·방풍 장비 착용 ③ 지정된 트레일 준수를 강조했습니다.
특히 드론·셀피 촬영 시 시야 확보가 어려워 추락 위험이 커지므로, 삼각대를 고정하거나 타인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한국여행업협회(KATA)는 회원사에 ‘몽골 화산 관광 안전 공지’를 배포하며 ▲여행자 보험 ▲긴급 구조 연락망 확보 ▲현지 가이드 실명제 등을 권고했습니다.
한편, 최근 5년간 몽골 관광객 사고 통계(몽골 국가긴급청)에 따르면, 추락 사고는 전체 야외 사고의 18%로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전문가들은 “‘SNS 인증샷’ 열풍이 위험 행동을 부추길 수 있다”며 안전 수칙 준수를 재차 당부했습니다.📸
외교부는 이번 사고를 계기로 ‘해외여행 안전 정보 플랫폼’을 개편, 고위험 지역 알림 기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라이브이슈KR은 여행객들의 안전한 해외 활동을 위해 추가 정보를 실시간 업데이트할 예정입니다.✈️
ⓒ 라이브이슈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