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1.daumcdn.netmediaimg-sectionsportsmetateamkbo390.png

📰 라이브이슈KR 단독1995년 8월 15일 일본 무라야마 도미이치 총리가 발표한 무라야마 담화가 올해로 30주년을 앞두고 다시 주목받고 있습니다.


무라야마 도미이치 전 일본 총리
이미지 출처: Wikimedia Commons

최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APEC 정상회의에서 일본 다카이치 사나에 총리에게 “침략 역사를 반성해야 한다”며 담화를 직접 거론한 것이 계기가 됐습니다.

같은 시각 일본 국내 언론은 극우 성향 정치인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무라야마 담화 비판을 병행 보도하면서 논쟁이 재점화됐습니다.

“무라야마 담화는 일본이 과거를 직시하겠다는 최소한의 국제적 약속이었다.” – 한‧일관계 전문가 A교수


무라야마 담화의 핵심 내용

식민지 지배와 침략 전쟁에 대한 통절한 반성
피해 국가 국민에게 마음에서 우러난 사죄 표명
평화 국가 건설과 국제사회 공헌 약속

담화는 태평양전쟁 A급 전범 문제, 일본 헌법 9조(평화헌법) 해석 등과도 직결돼 동북아 안보 질서의 기준점이었습니다.

1995년 발표 당시 무라야마 총리
이미지 출처: Wikimedia Commons

왜 지금 다시 주목받나?

1) 2025년 APEC 부산 개최로 한·일·중 3국 정상 외교가 본격화됐습니다.
2) 역사수정주의화해·협력론의 갈등이 여전히 팽팽합니다.
3) 징용·위안부 배상 판결현안이 합의 없이 누적돼 있습니다.

특히 다카이치 총리는 과거 무라야마 담화 수정 가능성을 언급해왔으나, 최근 회담에서는 “역사를 직시한다”는 원론적 표현만 되풀이했습니다.


담화 이후 일본 정부 ‘공식 입장’ 흐름

1995년 무라야마 담화50주년
2005년 고이즈미 담화60주년 – ‘통절한 반성’ 유지
2015년 아베 담화70주년 – ‘사죄’ 간접화·회귀 논란

올해 30주년 담화가 발표될 경우, 한국·중국뿐 아니라 국제사회가 수용할 수 있는 ‘계승·발전’ 문구가 핵심이 될 전망입니다.

2015년 아베 담화 당시
이미지 출처: Wikimedia Commons

한국 정부와 시민 사회의 시각

외교부“담화 정신을 훼손하는 어떤 시도도 용납될 수 없다”는 원칙적 입장을 유지합니다.

• 시민단체는 강제동원 배상·역사 교과서 왜곡을 해결하지 못하면 “공허한 유감에 그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담화 계승은 가해 책임의 출발점일 뿐, 종착점이 아니다.” – 피해자 지원단체 B대표


경제·안보 지형에도 영향

한·일 <반도체 공급망 협력>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국내 여론이 악화되면 전략물자 제도가 다시 경색될 우려가 있습니다.

또한 미국 주도의 인도·태평양 전략 안에서 세 나라가 경제안보 조율을 시도하는 만큼, 역사 이슈는 협상의 ‘보이지 않는 변수’로 작용합니다.

전문가 제언

공동 역사연구 재가동으로 학술적 합의 축적
청년 교류 프로그램 확대로 ‘저널 지오그래피’ 극복
피해자 중심 해결 원칙을 담은 양국 정부 협정 체결 필요

G20 정상회의에 나란히 선 한·일 지도자
이미지 출처: Wikimedia Commons


향후 일정 및 관전 포인트

2025년 3월 일본 국회 개회 연설에서 ‘담화 30주년’ 언급 여부
2025년 5월 G7 정상회의 의장 성명 반영 여부
2025년 11월 부산 APEC에서 공동 기자회견 개최 가능성

국제사회는 일본이 무라야마 담화‘통절한 반성’‘사죄’어떤 형태로 계승할지 주시하고 있습니다. 한·일 관계의 새로운 30년이 담화 정신을 토대로 출발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