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news.nateimg.co_.krorgImghk2025070301.41006351.1.jpg

🎁 시진핑 선물에 대한 관심이 뜨겁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1일 경주에서 열린 한-중 정상회담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에게 ‘본비자 바둑판’과 ‘나전칠기 자개 원형쟁반’을 정식 선물로 전달했습니다.

본비자는 국내에 극소량만 자생하는 비자나무로, 90년 이상 성장한 원목에서만 얻을 수 있어 희소성이 높습니다.

대통령실은 “양 정상이 모두 바둑을 즐긴다는 공통점을 고려했다”고 설명했습니다.

“11년 전 한국이 바둑알을 선물했던 맥락을 잇고자 했다.” – 대통령실 관계자

바둑판은 640×750×150㎜ 크기로 제작됐으며, 판면 모서리에 한·중 전통 문양을 섬세하게 부각해 문화적 상징성을 더했습니다.

함께 전달된 나전칠기 자개 원형쟁반은 조선 후기 ‘오봉도’ 문양을 모티프로 삼아, 번영과 장수를 기원하는 의미를 담았습니다.

본비자 바둑판 전경

사진=중앙일보 제공

이날 국립경주박물관 야외 정원에서 열린 환영식에서 이 대통령은 “♟️바둑처럼 한 수, 한 수 신중히 두어 양국 협력의 새 국면을 열자”고 밝혔습니다.

전문가들은 이번 선물이 ‘정상 선물 외교’의 3대 기준(상징성-희소성-휴대성)을 충족한다고 평가했습니다.

김정수 세종연구소 연구위원은 “🌏 글로벌 공급망 재편 국면에서 전통문화 소재를 활용한 소프트 파워 메시지”라고 분석했습니다.

아울러, 시진핑 주석은 답례로 ‘쌍희(双喜)’ 자수가 새겨진 중국 홍단주 도자기 세트를 건넨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나전칠기 자개 쟁반

사진=한겨레 제공

과거 사례를 보면, 2017년 트럼프 대통령에게는 ‘천마총 금관’ 모형이, 2020년 아베 전 총리에게는 ‘청자 매화문 연적’이 전달됐습니다.

이번 ‘바둑판 선물’은 문화재 복원 장인 4인이 45일간 수작업으로 완성해 국내 수공예 기술을 세계에 알리는 효과도 노렸습니다.

외교가에서는 “한한령 해제 가능성을 염두에 둔 문화 협력 메시지”라는 해석도 나옵니다.

대통령실은 “이번 선물 교환이 새 경제‧문화 협정 체결 논의로 이어지길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마지막으로 외교 전문가는 “♟️바둑의 ‘호선’처럼 동등한 파트너십을 강조한 상징적 행보”라고 평했습니다.

향후 후속 경제사절단 회의 일정이 공개되면, 추가 협력 분야도 속도를 낼 전망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