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비트코인 시세가 다시 한 번 7만 달러 선을 호시탐탐 노리고 있습니다. 글로벌 투자자뿐 아니라 국내 투자자들도 상승‧조정 국면마다 촉각을 곤두세우는 모습입니다.
1 BTC 가격은 11일 15시 기준 68,450달러(업비트 원화 기준 9,395만 원) 선에서 등락했습니다. 달러–원 환율 상승이 원화 표시 가격을 끌어올리는 구조가 김치프리미엄을 다시 2.8%대로 확대했습니다.
“ETF 유입 자금과 2024년 4월 예정된 반감기(halving)가 동시 작용할 경우, 공급 쇼크로 단기 8만 달러 돌파 가능성이 높다.” – 미국 가상자산 리서치사 매트릭스포트 보고서1
보고서는 또한 연준(Fed)의 금리 동결이 장기화될수록 위험자산 선호 심리가 점진적으로 회복될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시장 참여자들이 가장 주목하는 변수는 기관 자금의 유입입니다. 현물 ETF 거래 첫 3개월간 순유입액이 140억 달러를 넘어서며, GBTC 전환 물량 이탈폭을 상쇄했습니다.
국내 거래량도 가파르게 늘었습니다. 업비트·빗썸 기준 지난주 평균 일 거래대금은 전주 대비 37% 증가해 6조 2,000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기술적 분석 측면에서 단기 지지선은 66,800달러, 주요 저항선은 71,200달러로 압축됩니다. 단기 이동평균선(20MA)이 장기 이동평균선(60MA)을 위로 돌파하는 골든크로스가 형성돼 상승 추세가 유효하다는 평가가 우세합니다.
그러나 변동성 경계심도 필요합니다. CME 선물 미결제약정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면서, 롱 포지션 과열을 우려한 증거금 인상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국내 투자자라면 반드시 ‘특금법’ 신고‧수탁 규정을 확인해야 합니다. 특정금융정보법 개정안이 2024년 7월 시행되면, 익명 지갑 송금 허용 한도가 100만 원으로 제한됩니다.
절세 전략도 중요합니다. 올 연말까지 250만 원 한도 내 양도차익은 비과세2이며, 이를 초과할 경우 22%의 기타소득세가 부과됩니다.
중‧장기적으로는 기관의 포트폴리오 편입 비율이 3%에서 5%로 확대될 가능성이 화두입니다. 블랙록·ARK·피델리티 등 자산운용사들이 운용 보고서에서 BTC 장기 목표가 15만 달러 내외를 제시했습니다.
투자전략 측면에서 DCA(분할 매수) 방식은 여전히 유효합니다. 변동성이 큰 가상자산 특성상 고점 추격 매수보다는 주기적‧소액 매수가 평균 단가를 안정화하는 효과를 발휘합니다.
마지막으로, 스테이블코인 USDT·USDC의 유동성도 유심히 살펴야 합니다. 스테이블코인 시가총액이 증가하면 통상적으로 가상자산 유입 대기자금이 늘어 상승장을 예고하는 선행지표로 해석됩니다.
📌 요약하자면, 비트코인 시세는 ETF 자금, 반감기, 달러 강세가 뒤엉키며 신기록 경신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철저한 리스크 관리와 함께, 확장 가능성이 높은 블록체인 생태계 전반을 조망하는 시각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