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물산 실적이 다시 한 번 시장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습니다. 28일 공시된 3분기 영업이익 9,934억 원은 전년 동기 대비 34.9% 증가한 수치로, 불확실한 거시 환경 속에서도 안정적 성장 기조를 입증했습니다.
건설·상사·바이오·패션 네 개 축으로 이뤄진 다각화 포트폴리오가 위력을 발휘했습니다. 특히 삼성바이오로직스 4공장 완전 가동 효과가 바이오 매출과 이익 급증으로 직결됐습니다.
바이오 부문은 시밀러(바이오복제약) 기술료 수령과 CMO(위탁생산) 계약 확대 덕분에 분기 최대 실적을 거뒀습니다. 업계에서는 “글로벌 제약사와의 장기 파이프라인 확보로 성장 탄력이 지속될 것”이라는 평가가 나옵니다. 💉
건설 부문 역시 인프라·데이터센터·친환경 플랜트 수주가 호조를 보이며 수주잔고 37조 원을 유지했습니다. 지난 8월 착공한 엔씨소프트 판교 신사옥 프로젝트는 랜드마크 건설 사례로 꼽힙니다.
다만 29일 현장에서 발생한 중대재해는 우려를 키웠습니다. 삼성물산은 즉각 전 현장 작업중지와 재발 방지 대책 수립에 나섰다고 밝혔습니다. ⚠️
상사 부문은 원자재 트레이딩 호조가 이어졌고, 패션 부문은 3분기 매출이 4,450억 원으로 소폭 늘었으나 영업이익 120억 원으로 42.9% 감소했습니다. 재고 관리가 과제로 부각됐습니다.
“패션 부문의 체질 개선을 위해 친환경 소재·리세일 플랫폼 도입을 확대할 예정입니다.” ― 삼성물산 관계자
그러나 의류 재고 129t 소각 논란이 불거지며 ‘그린워싱’ 지적도 제기됐습니다. ESG 경영을 강조해온 삼성물산은 “2026년까지 전량 재활용·기부 전환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해명했습니다. 🌱
주식시장 반응도 뜨겁습니다. 주가 207,000원(28일 종가)은 3개월 새 16% 상승했으며, 한화투자증권은 목표주가를 27만 원으로 상향했습니다. 📊
원전·SMR(소형모듈원전) 사업 본격화 역시 모멘텀입니다. 삼성물산은 두산에너빌리티·삼성중공업과의 컨소시엄을 통해 ‘차세대 원전 EPC’ 시장 진입을 노리고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삼성물산 뉴스룸
주주환원 정책도 강화됩니다. 올해만 자사주 1조 원 규모 매입·소각을 발표했고, 배당성향 30% 이상 유지 방침을 재확인했습니다.
또한 삼성물산 패션부문은 MZ세대 겨냥 브랜드 ‘하티스트(Heartist)’로 온라인 매출 비중 35%를 돌파했습니다. 인플루언서 협업·메타버스 쇼룸 등 디지털 전환 전략이 주효했습니다. 🛍️
인재 확보에도 속도가 붙었습니다. 최근 채용 공고에 따르면 온라인 마케팅·CRM 경력사원을 모집하며,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확대 중입니다.
금융권 관계자는 “삼성물산은 건설·바이오·원전 ‘신성장 삼각축’을 통해 2026년 영업이익 4조 원 달성이 가능하다”고 진단했습니다.
결국 삼성물산은 리스크 관리와 ESG 체질 개선이라는 숙제를 안고 있지만, 다각화된 사업구조와 탄탄한 재무로 지속 성장 청사진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시장 전문가들은 “📈 실적 개선세가 이어질 경우 주가 30만 원 도 달성 가능하다”면서도 “안전·환경 이슈 해결이 주주가치 극대화의 관건”이라고 입을 모았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