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삼성전자 주가, 어디까지 오를까?
17일 11시 41분 기준 삼성전자 주가는 6만4,300원(+0.94%)에 거래되었습니다. 이재용 회장 최종 무죄 확정 소식이 전해지자, 장중 한때 1.7%까지 급등했습니다.
“사법 리스크 해소는 삼성 그룹 전반의 투자 의사결정 속도를 끌어올릴 것”1)
1. 삼성전자 실적·사업 부문별 체크포인트 🔍
① 메모리 반도체(HBM·DDR5) – AI 서버 수요 급증으로 HBM3E 공급 확대가 예상됩니다.
② 파운드리(Foundry) – 美 테일러·평택 P4 라인 가동이 2025년 상반기로 예정돼 있어, 퀄컴·엔비디아 수주 확대가 관건입니다.
③ 모바일·DX – 갤럭시 S26, Z 폴드7 시리즈에 엑시노스 2500 탑재가 유력하며, 자체 AI 모델 Gauss 적용이 차별화 요소로 부상했습니다.
2. 최근 주가 상승 배경
1) 사법 리스크 해소 – 대법원 무죄 판결로 경영 불확실성이 제거되었습니다.
2) HBM 가격 급등 – 2분기 평균 판매가격(ASP)이 전년 동기 대비 35% 상승했습니다.
3) 달러 강세 – 원·달러 환율 1,420원대 유지로 영업이익이 환율 수혜를 받고 있습니다.
3. 주요 실적 가이던스
증권가 컨센서스에 따르면 2025년 연간 매출은 350조 원, 영업이익은 58조 원으로 전망됩니다. 메모리 사업이 전체 영업이익의 55%를 차지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구분 | 2024E | 2025E | YoY |
---|---|---|---|
매출 | 314조 | 350조 | +11.5% |
영업이익 | 42조 | 58조 | +38.1% |
배당(보통주) | 1,440원 | 1,540원 | +6.9% |
4. 밸류에이션 비교 🆚
KOSPI 전기·전자 업종 평균 PER 21배 대비, 삼성전자는 17배 수준으로 할인 거래되고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FnGuide
5. 투자 포인트 & 리스크
👍 투자 포인트
- AI·클라우드 데이터센터 증설에 따른 초고대역폭 메모리 수요 폭발
- 파운드리 3나노 GAA 공정 수율 개선 → 애플·엔비디아 추가 수주 기대
- 차세대 패키징 X-Cube·SAINT 기술로 고부가 가치 확대
⚠️ 리스크 요인
- 미·중 기술 갈등 재점화 시 중국 스마트폰 및 서버 고객 수요 둔화 가능성
- TSMC·마이크론의 공격적 증설로 인한 공급과잉 우려
- 원화 강세 전환 시 환율 수혜 축소
6. 기관·외국인 수급 동향
최근 5거래일 동안 외국인 순매수 7,820억 원, 기관 순매수 2,130억 원으로 확인되었습니다. 특히 AI ETF 편입 비중 확대가 외국인 매수세를 견인했습니다.
7. 삼성전자 주가 전망 시나리오
베이스 시나리오 – 2025년 EPS 3,800원, 목표 PER 19배 적용 시 목표주가 7만2,000원.
낙관 시나리오 – HBM ASP +20%, 파운드리 수율 +5% 가정 시 PER 21배 적용, 8만1,000원.
비관 시나리오 – DRAM 가격 정체, EPS 3,000원 가정 PER 16배 적용, 4만8,000원.
8. 결론: 지금은 ‘코어 자산’ 편입 타이밍인가?
사법 리스크가 사라지고, AI 인프라 증설 사이클이 본격화된다는 점에서 삼성전자는 중장기 코어 자산으로서 매력도가 높아졌습니다. 다만 글로벌 매크로 변동성이 확대될 경우 분할 매수 전략이 유효합니다.
투자 전 자신의 위험 선호도와 포트폴리오 비중을 고려해야 하며, 공식 IR 페이지·한국거래소 공시를 수시로 체크하시기 바랍니다.

라이브이슈KR 기자 | 취재·편집 ☎ 02-XXXX-XXX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