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03_1843_모던한 라이브이슈KR 로고_simple_compose_01jwtjnbhnfrmr2ew2618jjkdz

⚖️ 상법 개정안 내용이 2025년 7월 3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습니다. 이번 개정은 기업지배구조 개선과 주주권 보호를 강화하기 위한 조치로, ‘3% 룰’전자주주총회 의무화 등 굵직한 변화가 포함됐습니다.


국회 본회의 이미지
사진 출처 : Unsplash


핵심 키워드: 상법 개정, 상법 개정안 내용, 3% 룰

이번 기사에서는 상법 개정안의 주요 조항, 입법 경과, 기업 및 투자자에게 미치는 영향, 향후 과제까지 종합적으로 살펴봅니다.


1️⃣ ‘3% 룰’ 전격 확대

가장 큰 변화는 감사위원 분리 선출 시 대주주 의결권을 3%로 제한하는 ‘3% 룰’의 전면 적용입니다. 기존에는 사내이사합산·사외이사단순으로 달랐으나, 모두 합산 방식으로 일원화됐습니다.

대주주 의결권 제한은 소수주주 권익 확보와 해외 투자자의 신뢰 회복에 큰 의미가 있습니다.” – 국회 법사위 관계자

재계는 경영권 방어 부담을 우려하지만, 시장에서는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의 첫 신호탄으로 평가합니다.


2️⃣ 이사의 충실의무 ‘회사 → 회사 및 주주’

이번 상법 개정은 이사의 충실의무 대상을 ‘회사’에서 ‘회사 및 주주’로 확대했습니다. 📝 이는 주주 가치 극대화를 위한 국제 기준(IFRS·OECD)과도 맞닿아 있습니다.

따라서 배임·손해배상 소송이 보다 활성화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사회 의사결정 과정에서 소수주주 의견 반영이 중요해집니다.


3️⃣ 전자주주총회 도입 의무화

코로나19 이후 급성장한 비대면 의사결정 흐름이 법제화됐습니다. 상장사는 매뉴얼·인프라 구축에 나서야 하며, 프록시 솔루션·전자투표 시스템 수요가 증가할 전망입니다.

전자주총 관련 그래픽
이미지 출처 : 한국경제 그래픽


4️⃣ 사외이사→독립이사 명칭 변경

글로벌 스탠더드에 맞춰 사외이사(outside director)독립이사(independent director)로 명칭을 바꿨습니다. 이름뿐 아니라 선임 절차·자격 요건도 강화돼 실질적 독립성을 담보합니다.

이에 따라 인재 풀 확보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5️⃣ 집중투표제·감사위원 확대는 ‘다음 단계’

관심을 모았던 집중투표제감사위원 확대공청회 후 재논의로 일단락됐습니다. 여야 간사단은 “2025 정기국회에서 재추진”을 예고했습니다.

집중투표제는 이사 선임 시 주주가 의결권을 특정 후보에 집중하도록 허용하는 제도입니다. 통과될 경우 소수주주 영향력이 크게 확대됩니다.


📊 기업·투자자 영향 분석

  • 상장 대기업: 지배주주 의결권 축소로 M&A 리스크 증가. 방어 전략 다각화 필요.
  • 기관·외국인 투자자: 거버넌스 개선 기대. 국내시장 프리미엄 확대 요인.
  • 핀테크·리걸테크: 전자주총 솔루션·컴플라이언스 SaaS 수요 급등.

🔍 검색 의도에 맞는 실용 정보

기업 실무진은 사내 지침·정관 개정을 서둘러야 합니다. 특히 3% 룰 적용 시점내년 1월 1일부터이며, 전자주총 시스템 구축은 6개월 유예가 부여됐습니다.

주주 입장에서는 내년 주총 시즌부터 전자투표 참여 확대, 감사위원 분리선출 표 대리위임 등이 가능해집니다.


🚩 향후 과제·전망

집중투표제 도입 여부
ESG 공시 의무화와의 연계
상법·자본시장법 조항 간 정합성 확보가 숙제로 남았습니다.

대한상공회의소코리아기업거버넌스포럼후속 시행령 제·개정 과정에서 업계 의견 수렴을 촉구했습니다.


🗂️ 정리하며

상법 개정안 내용주주 친화·투명 경영을 향한 첫걸음입니다. 기업은 지배구조 리스크를 최소화해야 하며, 투자자는 거버넌스 프리미엄을 면밀히 점검할 시점입니다.

라이브이슈KR은 앞으로도 상법 개정 후속 동향과 집중투표제 논의 과정을 지속적으로 보도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