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news.nateimg.co_.krorgImghk2025070301.41006351.1.jpg

💰 새마을금고가 1963년 창립 이후 최대 건전성 위기에 직면했습니다.


📊 전국 1,265개 금고 가운데 174개 금고가 자본잠식 상태이며, 연체율 8.37%(2025년 6월 말 기준)로 2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새마을금고 전경
▲ 사진=조선일보 갈무리


⚠️ PF 대출 부실이 급격히 확대되면서 부산·대구권 금고가 특히 큰 타격을 받았습니다.

이 여파로 부실채권(BLF) 비율 10% 이상인 금고가 438곳, 50% 이상인 곳도 등장했습니다.

지역밀착 금융의 장점이 오히려 리스크 집중으로 돌아왔다” – 금융연구원 보고서


🔍 위기를 막기 위한 첫 조치로 새마을금고중앙회‘통합재무정보시스템’을 5일 전면 오픈했습니다.

이 시스템으로 전국 금고별 건전성 지표를 한눈에 비교할 수 있어 투명성이 대폭 강화됐습니다.

통합재무정보시스템
▲ 사진=머니투데이 제공


⚖️ 그러나 감독권 이관 문제는 여전히 미묘합니다.

행정안전부가 가진 감독 권한을 금융위원회로 넘기자는 개편안은 역대 국회마다 번번이 좌절됐습니다.

이번에 대통령까지 문제를 지적하며 제도 개선 논의가 재점화됐습니다.


📈 시장 전문가들은 ① 손실 금고 합병·② 공적자금 투입·③ 맞춤형 경영컨설팅 등 3단계 해법을 제시합니다.

특히 지방 소형 금고에 대한 ‘지역 거버넌스+중앙회 안전판’ 결합 모델이 대안으로 부상했습니다.


🏦 회원 예금은 230조 원을 웃돌아 금융시장 파급력이 적지 않습니다.

정부와 중앙회는 ‘예금보호 한도 3,000만 원’ 재검토와 예금 보험료율 상향까지 논의하고 있습니다.


부산·대구권 금고 부실
▲ 사진=한국경제 캡처

🚇 지역별로는 수도권보다 광주·전남·경남권 위험도가 높습니다.(노컷뉴스 자료)

반면 일부 도농복합지역 금고는 양호한 자본·수익 구조로 건전성 ‘A등급’을 유지했습니다.


🤝 중앙회는 165개 금고를 ‘합병·청산 우선 검토 대상’으로 분류하고, 경영 자문단을 투입했습니다.

연내 자본확충 펀드 조성도 추진해 민간 투자자 참여를 이끌 계획입니다.


📱 동시에 ‘모바일 뱅킹 고도화’를 통해 젊은 고객층 유입을 노립니다.

세대교체로 수익원을 다변화하겠다는 전략이지만, 리스크 관리 프레임 정비가 선행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 국제 신용평가사도 상호금융권 PF 부실‘시스템 리스크’로 경계하며 모니터링을 강화했습니다.

“금융당국이 감독 사각지대를 방치한다면,
국가 신용등급까지 영향을 받을 수 있다.” – 글로벌 이코노믹스


🔔 결론적으로 새마을금고의 미래는 투명성 제고감독체계 개혁에 달려 있습니다.

회원·투자자·정부가 협력해 지속 가능한 지역금융 모델을 구축해야 할 때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