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성균관대학교 2025 현황 총정리
대한민국 최고(最古)의 고등교육기관인 성균관대학교는 1398년 조선시대 성균관의 전통을 계승해 현대적 혁신 플랫폼으로 도약했습니다. 올해도 ‘Global Leading University’ 비전 아래 교육·연구·산학협력 전 분야에서 굵직한 성과를 창출했습니다.
1️⃣ 두 캠퍼스, 하나의 스마트 생태계
종로구 명륜동 인문사회과학캠퍼스와 수원시 장안구 자연과학캠퍼스는 5G 기반 스마트클래스룸·친환경 그린라운지를 도입해 학습 경험을 혁신했습니다. 특히 자연과학캠퍼스는 AI 클라우드 슈퍼컴을 전 학과 연구실에 개방했습니다.
2️⃣ 인공지능대학원: L.E.A.R.N. 프로젝트 가속
AI대학원은 Language, Ethics, Autonomous, Robotics, Network 5대 트랙을 통합한 L.E.A.R.N. 프로젝트를 가동했습니다. 2025년 기준 국내·외 특허 42건, SCI급 논문 95편을 기록하며 성균관대학교 연구 역량을 입증했습니다.
“인공지능 시대 초격차를 위해 AI-Quantum-HCI 융합 인재를 양성하겠습니다.” – AI대학원장 이지형 교수
3️⃣ 소프트웨어융합대학, 전 세계 100대 학과 진입
소프트웨어학과·컴퓨터공학과·글로벌융합학부가 속한 소프트웨어융합대학은 QS World University Rankings by Subject 2025에서 컴퓨터공학 74위에 올랐습니다. 메타버스 캡스톤 디자인·블록체인 연계전공 등 실무 중심 커리큘럼이 호평을 받았습니다.
4️⃣ 양자정보공학과: Q-NEXT 컨소시엄 참여
양자정보공학과는 美 아르곤국립연구소 주도 ‘Q-NEXT’ 국제 공동연구에 합류했습니다. 큐비트 소자 국산화 성공률 92%를 달성해, 성균관대학교의 양자 컴퓨팅 선도 이미지를 강화했습니다.
5️⃣ CES 2026 RISE 단체관 참가기업 모집
산학협력단은 경기도와 함께 CES 2026 RISE 단체관 참가 스타트업을 모집 중입니다. 재학생·졸업 7년 이내 창업팀이라면 최대 5천만 원 부스·컨설팅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모집 마감 2025.08.31)
6️⃣ 디지털포렌식연구실, DFRWS USA 1등 쾌거
과학수사학과 디지털포렌식연구실은 DFRWS USA 2025 RODEO 해킹 방어 대회에서 종합 1위를 차지했습니다. 동일 연구팀은 논문 세 편도 단독 게재했습니다.
7️⃣ 총학생회 S:CATCH, ‘다시 성균에게’ 모금 캠페인
제57대 총학생회 S:CATCH가 진행 중인 기부 챌린지는 7월 말 현재 5억2천만 원을 모금했습니다. 동문·교직원·재학생이 함께 장학·캠퍼스환경 개선에 힘을 보태고 있습니다. 😊
8️⃣ 2025학년도 장학제도 업그레이드
성적우수·사회봉사·창업트랙 등 50여 종 장학금이 개편돼 지급 규모가 전년 대비 18% 확대되었습니다. 성균관대학교는 재학생 2명 중 1명이 혜택을 받도록 설계했습니다.
9️⃣ 입학 전형: ‘창의·도전’ 인재 선발
수시 서류평가에서 K-에코 챌린지·국제올림피아드 수상 실적이 가산점으로 반영됩니다. 정시모집은 2025.12.29∼2026.01.02, 최초 합격자 발표 2026.02.07입니다.
🔟 글로벌 파트너십 700여 곳 돌파
2025년 7월 기준, 성균관대학교는 71개국 교환협정 702건을 체결했습니다. 듀얼디그리·1+3 복수학위 등 다양한 국제 프로그램으로 매년 3,600명 이상이 해외로 파견됩니다.
11️⃣ 삼성과의 산학협력: ‘지식동맹’ 모델
모교 설립 후원사인 삼성그룹은 올해도 ‘삼성전자-SKKU AI-반도체 융합센터’에 300억 원을 추가 투자했습니다. 이를 통해 산학 R&D 과제 128건이 진행 중입니다.
12️⃣ 취업·창업 성과
교육부 대학알리미 자료에 따르면, 성균관대학교 학부 졸업생 취업률은 82.4%로 수도권 4년제 대학 1위를 기록했습니다. 창업보육센터 누적 투자유치 금액도 1.1조 원을 넘어섰습니다.
13️⃣ 캠퍼스 접근성 & VR 투어
지하철 4호선 혜화역 4번 출구에서 도보 10분, 수원캠퍼스는 국철 1호선 성균관대역과 셔틀버스로 연결됩니다. 버추얼 투어(https://vr.skku.edu)로 360° 캠퍼스를 체험할 수 있습니다.
14️⃣ ESG·탄소중립 선도 대학
2025년 3월, 성균관대학교는 아시아 대학 최초로 SBTi 1.5°C 목표를 승인받았습니다. 태양광 발전·지능형 에너지관리 시스템 도입으로 연간 3,200t CO₂ 절감을 달성했습니다.
15️⃣ 명사 동문 네트워크
정·재계는 물론 문화·스포츠계까지 약 32만 명의 졸업생이 전 세계에서 활약 중입니다. 최근에는 배우 송중기, LG CNS 대표 김영섭 동문이 ‘SKKU 글로벌 펀드’ 기부로 화제가 됐습니다.
16️⃣ 앞으로의 과제와 비전
캠퍼스 도시(Living Lab) 조성·디지털 헬스케어 혁신·문화예술 융합 등 ‘Vision 2030+’ 전략이 순항 중입니다. 성균관대학교는 전통과 혁신의 조화를 통해 ‘아시아 톱 3 대학’ 도약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성균관대학교 공식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