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1.daumcdn.netmediaimg-sectionsportsmetateamkbo390.png

📚 성균관대는 1398년 태동한 조선 시대 최고 교육기관인 성균관에서 뿌리를 내려 2025년 건학 627주년을 맞이합니다.


오랜 역사만큼이나 전통혁신을 함께 품어 온 이 대학은 종로구 인문사회과학캠퍼스수원시 자연과학캠퍼스이원(二元) 체제로 운영됩니다.

성균관대 로고
이미지 출처: 성균관대학교 공식 홈페이지


역사적 유산을 살펴보면,

“유교 경전 연구와 나라의 인재 양성”1을 사명으로 삼았던 시절이 있었지만, 오늘날 성균관대AI·반도체·바이오를 선도하는 연구 중심 대학으로 변모했습니다.

특히 삼성 그룹과의 산학협력은 연구 역량을 끌어올린 핵심 동력입니다.


최근 개소한 AI 반도체 융합연구소4개 전문 센터를 중심으로 차세대 뉴로모픽 칩 설계, 저전력 연산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같은 맥락에서 정보통신대학·반도체시스템공학과가 공동 추진하는 ‘성균관대 RAG Lab’은 검색증강생성(RAG) 기술로 대규모 언어모델의 환각 현상 감소에 도전합니다.


금융과 IT의 경계도 무너졌습니다. 핀테크융합전공AI 기반 신용평가에서 블록체인 결제 시스템까지 실전 프로젝트로 배움을 확장합니다. 🤖💳

소프트웨어융합대학은 데이터사이언스·컴퓨터공학·글로벌융합학부로 세분화돼 ‘코딩 교육 1학년 의무화’ 정책을 국내 최초로 시행했습니다.


자과캠 전경
이미지 출처: 성균관대 소프트웨어융합대학

연구 성과도 주목할 만합니다. 2024년 Nature Electronics에 게재된 양방향 연료전지 논문은 국내외 30여 개 언론이 인용하며 성균관대의 위상을 재확인시켰습니다.


입시 측면에서 2024학년도 정시 합격자 평균 표준점수 386점2는 전국 최상위권입니다. 학생부 종합전형 ‘계열모집’과 ‘학과모집’을 병행해 수험생 맞춤 설계가 가능하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장학제도도 풍성합니다. 선원가족장학금·수원지역동문회 장학금·지도자육성장학재단 등이 대표적이며, 학기당 1,500명을 대상으로 등록금 전액 면제 혹은 생활비를 지원합니다.


해외 교류는 현재 세계 80개국, 720개 대학과 협정을 맺어 ▲3+1 파견 교환복수학위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운영됩니다.

학생들은 프랑스 파리정치대학, 미국 UC 버클리 등에서 수학하며 ‘글로벌 SKKU 네트워크’를 구축합니다. 🌏✈️


📖 문화유산과 현대적 캠퍼스가 공존하는 인사캠은 명륜당·대성전을 보존해 학우들에게 살아 있는 역사를 체험하게 합니다.

수원 자연과학캠퍼스에는 130만 권을 소장한 과학도서관과 24시간 개방형 스터디 라운지가 있어 학습 몰입도를 높입니다.


진로 성과도 돋보입니다. 2023년 취업률 77.2%3는 전국 평균보다 15%P 높으며, 삼성·LG·카카오·네이버 등 주요 IT 기업 취업 비중이 절반을 차지합니다.

창업 생태계 역시 활발합니다. 교내 ‘킹고스프링 창업지원단’은 1,000만 원 시드 펀딩, 멘토링, 해외 전시 참가비를 제공합니다.


대학본부는 2030 전략으로 “지속가능·초연결·휴머니티”를 제시했습니다. 구체적으로 탄소중립 캠퍼스, 메타버스 강의 플랫폼 도입, 인문학 기반 AI 윤리 교육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AI 반도체 연구소
이미지 출처: 성균관대 정보통신대학


🔍 종합적으로 볼 때, 성균관대전통의 깊이미래 기술을 융합해 학생·연구자·산업계 모두에게 매력적인 선택지가 되고 있습니다.

다가올 10년, 4차 산업혁명의 파도 속에서 성균관대가 어떤 새로운 지평을 열지 주목됩니다. 🎓✨


1. 『성균관의 역사』(2020) / 2. 대학입학처 발표자료(2024.3) / 3. 대학정보공시(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