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1.daumcdn.netmediaimg-sectionsportsmetateamkbo390.png

🚀 24시간 만에 17% 급등하며 185.57USDT(약 24만4,000원)를 돌파한 솔라나(Solana)가 다시 한 번 글로벌 가상자산 시장의 스포트라이트를 받고 있습니다.

12일(한국시간) 알파스퀘어 실시간 시세에 따르면 솔라나 가격은 지난주 대비 32% 상승했습니다. 스테이킹 프로토콜 대규모 인출(14억 달러) 이후 투자 심리가 급격히 회복됐기 때문입니다.


솔라나 로고 ⓒ AlphaSquare

솔라나 핵심 지표
• TPS1 평균 : 3,000↑
• 일일 활성 지갑 : 138만 개
• 총 예치금(TVL) : 96억 달러
• 네트워크 수수료 : 트랜잭션당 약 0.00025달러

속도·수수료 경쟁력 덕분에 솔라나는 ‘이더리움 킬러’라는 별칭을 얻었습니다. 2025년 상반기 메인넷에 적용된 Firedancer 병렬 검증기는 테스트 단계에서 1만 TPS를 넘기며 네트워크 정지 우려를 사실상 해소했습니다.

디파이(DeFi) 생태계 재편도 급물살입니다. Jupiter · Drift · MarginFi 등 현지 DEX는 일일 거래액 30억 달러를 돌파했고, Marinade·Jito가 제공하는 리퀴드 스테이킹 토큰은 SOL 유통량의 9%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NFT·게임·밈코인 분야 역시 활기를 띠고 있습니다. Compressed NFT 기술 덕분에 발행 수수료가 100분의 1 수준으로 낮아졌으며, ‘디어드롭(Deardrop)’ 같은 모바일 NFT 마켓이 MZ 세대 유저를 빠르게 흡수했습니다.


💡 최신 업데이트

Token Extensions: 규제 친화적 토큰 발행 모듈이 본격 가동되었습니다.
솔라나 모바일 2세대: Saga 후속 모델이 연내 공개될 예정입니다.
레스트레이크(Restake) 서비스: ETH LRT 열풍을 솔라나로 이전하려는 움직임이 가시화됐습니다.

국내에서도 열기가 뜨겁습니다. 빗썸·업비트에서 국내가 25만 원 선을 형성했고, 슈퍼팀 코리아, Ninja Labs 등 개발자 커뮤니티가 서울·부산 밋업을 활발히 개최하고 있습니다.

블랙록의 현물 ETF 출시설은 아직 부인됐지만, 씨티·피델리티 등 기관의 솔라나 노출 상품 검토 사실이 전해지며 기관 수요에 대한 기대가 부각됐습니다.


가격 전망 & 위험 요인

전문가들은 “200달러 저항선을 넘기면 2021년 고점(260달러) 돌파 시나리오도 유효하다”고 평가합니다. 다만 네트워크 장애 재발·SEC 규제 변수·경쟁 체인(모듈러·레이어2) 부상이 잠재 리스크로 꼽힙니다.

투자 전략으로는 ① 분할매수(DCA) ② 리퀴드 스테이킹 활용 ③ 온체인 데이터 모니터링이 권장됩니다. 특히 TVL·활성 지갑·수수료 소각량을 주기적으로 체크하면 유효한 신호를 얻을 수 있습니다.

솔라나 매수는 국내 거래소(업비트·빗썸·코인원)와 글로벌 거래소(바이낸스·코인베이스)를 통해 가능합니다. KRW↔USDT 직구매 시 스프레드와 출금 수수료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규제 측면에서는 오는 2026년 발효 예정인 가상자산업권법(가칭)이 파트너 프로젝트 토큰 발행 구조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국내 법인 참여 프로젝트는 화이트리스트 등록 여부를 사전에 살펴야 합니다.


솔라나는 한때 ‘다운타임’ 논란에 시달렸지만, 2025년 들어 기술 업그레이드와 생태계 확장으로 명실상부한 다크호스로 복귀했습니다. 속도·수수료·유저 경험이라는 세 마리 토끼를 잡은 솔라나가 디파이·NFT·밈코인이 결합된 웹3 슈퍼앱 플랫폼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투자자는 기회와 위험을 균형 있게 고려하며, 온체인 지표·정책 변화·경쟁 구도를 지속적으로 점검해야 합니다.

라이브이슈KR 김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