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핵심 요약 – 최근 신천지와 정치권의 연결 고리가 다시 뜨거운 이슈로 부상했습니다.
첫 보도는 JTBC 뉴스룸이었습니다. 이들은 이만희 총회장이 “국민의힘에 당원 가입하라”고 지시한 내부 증언을 입수했다고 전했습니다.
이미지 출처: JTBC YouTube 캡처
해당 증언에 따르면 최대 10만 명의 신천지 신도가 2021년 국민의힘 대선 경선 책임당원으로 가입했을 가능성이 제기됐습니다. 이는 경선 표심을 뒤흔들 수 있는 규모입니다.
“이재명 후보가 당선되면 신천지가 해체될 수도 있다”는 내부 우려가 윤석열 당시 후보 지지의 배경이었다고 전해졌습니다.
정치권 반응은 즉각적이었습니다. 국민의힘 장동혁 의원은 “입당 자체가 왜 문제냐”라며 증거 부족을 강조했습니다.
반면 더불어민주당 김병기 원내대표는 “윤석열–신천지 밀월이 드러나고 있다”라며 공세 수위를 높였습니다. 여야 공방이 격화되는 양상입니다.
이미지 출처: MBC 뉴스 캡처
이만희 총회장은 과거 코로나19 방역 실패 책임과 횡령·배임 혐의로 재판을 받아왔습니다. 그러나 1심 무죄 뒤 항소심도 대부분 혐의가 무죄로 결론 나며 사법 리스크는 줄어든 상태였습니다.
코로나19 초기 집단감염의 진원지였던 대구 신천지 교회 사태는 한국 사회에 큰 충격을 줬습니다. 이 사건으로 31번 확진자가 상징처럼 남았고, 방역당국–신천지 간 갈등이 심화됐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수 신도는 여전히 전국 12지파, 해외 32개국에 퍼져 활동 중입니다1. 국내외 추정 신도 수는 약 23만 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조직적 결속력”을 신천지 최대 강점으로 꼽습니다. 동원령이 내려지면 표 단위로 움직일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
이 때문에 정치적 유혹이 반복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소규모 지역구에서 몇 천 표는 당락을 좌우하기 때문입니다.
이미지 출처: JTBC 뉴스 웹페이지
실제 일부 지방선거에서는 신천지 피선거권 논란이 제기됐지만, 공직선거법상 종교단체 구성원이라는 이유만으로는 피선거권 제한이 어렵습니다.
법조계는 “당원 모집 과정에서 집단 가입을 증명할 객관적 자료가 핵심”이라고 설명합니다. 통화녹취·문자·송금 기록 등이 확보돼야 수사가 본궤도에 오를 수 있습니다.
일각에서는 ‘종교 자유’와 ‘정치적 투명성’의 균형을 맞춰야 한다고 말합니다. 해외에서도 사이비·신흥종교의 블록 보팅 문제가 반복적으로 논의돼 왔습니다.
더 나아가 정부는 2026년부터 정당법 개정을 통해 온라인 당원 가입 인증 절차 강화를 예고했습니다. 이번 사태가 제도 개선의 시험대가 될 전망입니다.
학계는 “신천지의 정치·사회적 영향력이 지속될 것”이라며, 투명한 정보 공개와 시민 교육이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결국 이번 논란은 신천지–정치권–시민사회가 얽힌 복합 이슈입니다. 향후 수사 결과와 입법 과정이 한국 정치 지형에 적지 않은 파문을 남길 가능성이 큽니다. ⏱️
1 문화체육관광부 2024년 12월 ‘신흥종교 실태조사’ 결과 인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