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cdn.imweb_.methumbnail202505099308327eb6353.png

엑시노스 2500이 삼성전자 ‘갤럭시 Z 플립7’과 함께 공개되면서 반도체 업계에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본 기사에서는 삼성 엑시노스 2500의 핵심 스펙, 3나노 GAA 공정 특징, 모바일 AI 성능, 경쟁 칩과의 비교, 향후 탑재 제품 전망까지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 1. 3나노 GAA 공정
엑시노스 2500은 삼성파운드리 3나노 Gate-All-Around(GAA) 2세대 공정을 최초 적용한 모바일 AP입니다. GAA 구조는 채널을 게이트가 네 면에서 감싸 누설 전류를 줄이고 전력 효율을 크게 높였습니다.

업계에 따르면 동일 주파수에서 작년 4나노 대비 전력 소모가 최대 30% 감소했고, 동급 면적 대비 성능도 15% 향상됐습니다.


🚀 2. CPU 아키텍처
엑시노스 2500은 ARM Cortex-X5 초대형 코어 1개, Cortex-A725 퍼포먼스 코어 4개, Cortex-A520 전력 효율 코어 3개로 구성된 1+4+3 구조를採用했습니다. 최대 클럭은 3.4GHz로 알려졌으며, 멀티스레드 성능이 전작보다 18% 개선됐습니다.


🎮 3. Xclipse 950 GPU
AMD RDNA3 기반 Xclipse 950 GPU는 레이트레이싱 연산 유닛이 두 배로 늘었습니다. 삼성은 *실시간 광원 반사* 효과를 모바일에서도 60fps로 구현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3DMark Solar Bay 기준 전작 대비 42%↑)

엑시노스 2500은 모바일 게임 그래픽의 한계를 또 한 번 끌어올렸다” ― 삼성 시스템LSI(2025.7.9)


📸 4. ISP & NPU 강화
2억 화소까지 지원하는 ISP와 6TOPS급 NPU가 결합돼 AI 노이즈 억제, 실시간 오브젝트 인식 성능이 크게 향상됐습니다. ‘갤럭시 AI 포토 어시스트’ 기능이 끊김 없이 동작하는 배경이 바로 이 부분입니다.

특히 Gemini 2.5 멀티모달 모델을 로컬에서 추론할 때 발열이 15% 줄었다는 내부 테스트 결과가 공개됐습니다.


엑시노스 2500 다이 이미지
▲ 이미지 출처: 파이낸셜뉴스 산업·IT 섹션

💾 5. 메모리·저장장치
LPDDR5X 8533Mbps, UFS 4.1 인터페이스를 지원해 동시 읽기·쓰기 속도가 46GB/s를 넘어섭니다. 초고해상도 영상 편집이나 대용량 AI 파이프라인 처리 시 체감 속도가 향상됩니다.


갤럭시 Z 플립7 언팩 현장
▲ 이미지 출처: 지이코노미

📱 6. 첫 탑재: 갤럭시 Z 플립7
갤럭시 Z 플립7은 폴더블 최초로 엑시노스 2500을 채택했습니다. 4300mAh 배터리와 만나 웹 서핑 16시간, 유튜브 연속 18시간을 기록했습니다.

삼성은 플립7 외에도 내년 ‘갤럭시 S26 FE’에 동일 칩을 확대 적용해 생산 단가를 낮추고 생태계를 확장할 계획입니다.


폴드7 & 플립7 실물
▲ 이미지 출처: X(@TEQHNIKACROSS)

⚔️ 7. 스냅드래곤 8 Gen4와 비교
퀄컴 신형 8 Gen4(4nm N4P)와의 벤치마크에서 엑시노스 2500은 싱글코어 1% 열세, 멀티코어 5% 우위를 보였습니다. GPU 영역에서는 레이트레이싱 ON 조건에서 평균 프레임 8% 높은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발열 억제 측면에서는 GAA 공정의 이점으로 표면 온도 44.3℃를 유지해, 47℃를 기록한 경쟁 칩 대비 사용자 경험이 개선됐습니다.


🔋 8. 전력 관리 기술
다단계 DVFS와 차세대 PMIC가 적용돼 대기전력 25% 감소, 고부하 게임 구간 소비전력 18% 감소 효과가 검증됐습니다. 이는 탄소중립 기조에 맞춰 배터리 수명과 친환경 측면을 동시에 강화한 전략입니다.

5G-Advanced 모뎀은 다운로드 최대 7.5Gbps, UWB(초광대역) 칩과 시너지를 내 스마트태그 정밀 위치 측정도 지원합니다.


🔮 9. 업계·투자자 반응
디시인사이드 반도체 갤러리 등 커뮤니티에서는 ‘전작 대비 성능 향상 9%라는 초기 루머가 과소평가였다’는 평가가 나왔습니다. 증권가도 삼성 시스템LSI 실적 개선의 ‘키’로 엑시노스 2500을 지목했습니다.

다만 양산 수율이 초기 60% 수준이라는 분석이 있어, 하반기 80% 이상 확보 여부가 흥행 관건으로 꼽힙니다.


🌐 10. 앞으로의 로드맵
삼성은 2026년 ‘엑시노스 2600’을 2nm GAA 공정으로 출시해 클럭 3.8GHz, GPU RDNA4 기반으로 업그레이드할 계획입니다. 엑시노스 2500의 성공이 다음 세대 칩 설계·수주 경쟁력에 직접적 영향을 미칠 전망입니다.


정리하자면, 엑시노스 2500은 3나노 GAA, Xclipse 950 GPU, 강화된 NPU로 발열·전력·AI 성능의 균형을 잡으며 명예 회복에 나섰습니다. 갤럭시 Z 플립7의 초기 사용자 평이 긍정적이라면, 삼성 모바일 AP의 부활 드라마가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라이브이슈KR은 향후 벤치마크 결과와 양산 수율 변동을 지속 추적 보도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