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여천NCC가 자금난으로 부도 위기에 직면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석유화학 업계가 술렁이고 있습니다.
⚠️ 전남 여수국가산업단지 한복판에 위치한 여천NCC 제3공장은 지난주부터 가동을 멈췄습니다.
현장 관계자는 “운전 정지 동안 정비 인력만 남았을 뿐, 생산 설비 대다수에 전원이 차단돼 있다”고 전했습니다.
📊 1999년 설립된 여천NCC는 한화솔루션과 DL케미칼이 지분 50%씩 보유한 합작사입니다.
에틸렌 연간 생산량 200만t 규모로 국내 3위, 아시아 10위권까지 성장했으나 최근 석유화학 시황 악화가 수익 기반을 갉아먹었습니다.
🏭 중국발 공급 과잉, 고금리·고환율 환경이 맞물리며 나프타 분해시설(NCC) 마진이 배럴당 –100달러대까지 추락했습니다.
여천NCC 역시 작년 1조원대 적자를 기록했고, 올해 상반기에도 6,000억원 이상의 영업손실을 기록했습니다.
💸 당장 이달 21일까지 3,000억원을 확보하지 못하면 채무불이행(default) 가능성이 커지는 상황입니다.
“회사를 살리려면 자금 수혈이 급선무입니다.” — 한화솔루션 관계자
한화는 이사회에서 1,500억원 추가 대여를 승인하며 ‘신속 지원’ 방침을 굳혔습니다.
김동관 한화 부회장은 “동종 업계 구조조정이 본격화되면 오히려 체질 개선의 기회가 온다”고 강조했습니다.
반면 DL은 “원인 진단 없이 자금만 넣는 대증적 처방은 무의미하다”며 워크아웃 추진을 시사했습니다.
DL 측은 “채권단 주도 구조조정이 장기적 회생 해법”이라고 밝히며, 손실 분담 비율과 경영 참여권 조정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 갈등이 길어지자 거래은행들은 여천NCC 신용등급을 한 단계 추가 하향 검토 중입니다.
IB업계 관계자는 “등급이 BBB-로 떨어지면 회사채 차환 자체가 불가능해질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 여수 지역 경제도 긴장하고 있습니다.
여천NCC 협력사 500여 곳, 근로자·가족까지 1만2,000여 명의 생계가 직격탄을 맞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전문가들은 두 시나리오를 제시합니다.
① 주주 수혈 후 단계적 감산으로 시황 반등까지 버티기, ② 채권단 관리 아래 원가 경쟁력 확보입니다.
한국석유화학협회 관계자는 “글로벌 친환경 전환 속도를 고려하면 NCC 설비 고도화와 탈탄소 투자도 병행돼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 실제로 여천NCC는 장기 비전으로 전력·수소 믹스 변경, 바이오 원료 혼합 등 탈탄소 로드맵을 마련했으나 자금 부족으로 속도가 지연되고 있습니다.
📌 정부 역시 상황을 예의 주시합니다.
산업부 관계자는 “국가 기간산업 보호 차원에서 채권단 협의가 원활히 이뤄지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향후 일정은 “8월 21일 데드라인”과 “9월 초 임시주총” 두 고비로 요약됩니다.
시장 참여자들은 “양측이 구체적 손실 분담안을 조율할지, 워크아웃 트리거가 당겨질지 아직 불투명하다”고 분석했습니다.
🤔 결론적으로 여천NCC는 생존과 구조조정의 기로에 서 있습니다.
한화와 DL이 합의점을 찾아 석유화학 패러다임 전환을 선도할지, 혹은 워크아웃을 통해 새 자본을 맞이할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라이브이슈KR은 해당 이슈가 한국 석유화학 생태계에 미칠 영향을 지속 모니터링하겠습니다. 📝
이미지 출처: 조선일보, 한국경제, 중앙일보 공식 기사 캡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