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인 청산 공포가 암호화폐 시장을 뒤흔들었습니다. 24시간 만에 60억 달러 이상이 증발했고, 160만 명 넘는 투자자가 강제 청산을 경험했다는 통계가 나왔습니다.
청산(liquidation)은 레버리지 포지션의 증거금이 유지 마진 이하로 떨어질 때 거래소가 강제로 포지션을 정리하는 절차입니다. 전체 자산이 0원이 되는 극단적 상황도 실제로 벌어집니다.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대중 100% 추가 관세 발언10.10 이후, 비트코인은 하루 새 12% 급락했습니다. 코인글래스에 따르면 같은 기간 약 27조4,400억 원어치 선물 포지션이 날아갔습니다.
사진=Unsplash / Traxer
이번 코인 청산 사태는 과도한 레버리지와 시장 유동성 축소가 맞물린 블랙스완으로 평가됩니다. 멀티코인캐피털은 “기관 비중이 커지면서 청산 규모도 눈덩이처럼 불어났다”고 전했습니다.
“레버리지는 이익을 키우지만, 잘못된 방향으로 움직일 때 손실 곱셈기가 됩니다.” – 블룸버그 인텔리전스
1️⃣ 레버리지 구조 이해하기
• 교차(Cross) 마진: 계정 내 모든 자산이 담보로 잡혀 청산 위험 확대.
• 격리(Isolated) 마진: 포지션별 증거금 분리로 리스크 한정.
2️⃣ 변동성 지표 활용
Fear & Greed Index, RSI, VIX-Crypto 등을 참고하면 과열과 공포 국면을 미리 가늠할 수 있습니다.
사진=Unsplash / Kanchanara
3️⃣ 증거금 관리법
• 증거금 50% 룰: 레버리지 진입 시 계좌 총액의 절반 이상을 현금·스테이블코인으로 유지합니다.
• 손절·익절 구간을 사전에 설정해 자동 주문(Stop-Loss) 배치가 필수입니다.
4️⃣ 헤지(hedge) 전략
선물 매도, 옵션 풋, 금·달러 인버스 ETF 등으로 포트폴리오 변동성을 줄일 수 있습니다.
사진=Unsplash / Michael Förtsch
이번 코인 청산 후폭풍으로 국내외 규제 논의도 재점화됐습니다. 금융위는 “고위험 파생상품 성격의 무기한 선물 거래에 대한 소비자경보를 유지한다”고 밝혔습니다.
투자자 보호의 사각지대를 메우려면 거래소 투명성, 예치금 분리 보관, 공시 의무 강화가 동시에 추진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실전 투자자 체크리스트
1. 레버리지 배율 5배 이하로 제한하기
2. 포지션별 손실 한도를 계좌 가치의 2% 내로 고정하기
3. 변동성 확대 시 거래량 감소 구간에서 무리한 진입 피하기
한편, 일부 고래(whale)는 폭락장에서 반대로 숏 포지션을 잡아 160만 달러 수익을 냈습니다. ‘변동성은 위험이자 기회’라는 교훈이 재확인된 순간이었습니다.
market 베테랑들은 이번 코인 청산을 “2025년판 DeFi 붕괴 예고편”이라 부릅니다. 레버리지 중독이 계속된다면 더 큰 충격이 뒤따를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결국 핵심은 ‘스스로를 청산하지 않는 것’입니다. 분산 투자·리스크 관리·심리 통제라는 3대 원칙을 준수한다면, 언제 닥칠지 모를 폭락장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투자자 여러분은 오늘도 ‘안전벨트’를 확인하셨습니까? 시장은 언제든 급커브를 돌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