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원민경 여성가족부장관 후보자가 3일 국회 여성가족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 출석했습니다.
첫 모두발언에서 그는 “성평등·청소년 보호 정책을 한층 진전시키겠다”며 국회의 협조를 요청했습니다.
📌 주요 경력으로는 국가인권위원회 성희롱·성폭력 조사관과 군 인권센터 법률지원단 변호사 등이 소개됐습니다.
특히 2022년 공군 성추행 사망 사건 피해자 지원을 이끈 점이 여야가 공통으로 주목한 대목입니다.
사진=KBS 뉴스
🏛️ 그러나 차별금지법·비동의간음죄 등에 대한 입장으로 열띤 공방도 이어졌습니다.
원 후보자는 “차별금지법 반대는 오해에서 비롯됐다”며 “충분한 공론 과정 후 추진할 수 있다”는 답변을 내놨습니다.
야당은 “시민단체 활동 이력에 비해 정책 구상이 모호하다”는 지적을, 여당은 “현장 경험이 풍부하다”는 평가를 각각 내놓았습니다.
📈 정책 비전 부분에서는 디지털 성범죄 대응 강화, 청소년 자살 예방, 돌봄 공백 최소화 등이 핵심 과제로 제시됐습니다.
특히 그는 “AI 기술을 활용한 불법촬영물 즉시 차단 시스템을 도입하겠다”면서 IT 기업과의 협력을 강조했습니다.
“피해자 관점에서 2차 가해를 원천 차단하는 것이 여가부의 최우선 과업입니다.” — 원민경 후보자
🧐 청문회에서는 자녀 위장전입 의혹도 제기됐으나, 원 후보자는 “사실무근이며 이미 과태료를 납부하고 정리했다”고 해명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여야 모두 추가 증인을 부르지 않고 서면 자료 요구만으로 절차를 진행해 눈길을 끌었습니다.
⚖️ ‘피해호소인’ 표현 논란에 대해 그는 “부적절한 표현이라며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박원순 전 서울시장 성추행 사건 당시 불거진 용어 사용 문제로, 피해자 보호 관점에서 개선 의지를 드러낸 것이란 평가입니다.
🌐 국제협력 계획도 소개됐습니다. 원 후보자는 “유엔 여성지위위원회와의 협업을 통해 젠더 예산을 확대하고, 한·아세안 청소년 교류 사업을 재가동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저출생 대응은 여가부 단독 과제가 아니라며, 기획재정부·교육부와의 공동 태스크포스를 제안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미지=MBC YouTube 캡처
청문회는 약 7시간 동안 진행됐으며, 증인·참고인 없이 후보자 단독 질의응답으로 마무리됐습니다.
여가위는 빠르면 4일, 인사청문경과보고서 채택 여부를 논의할 전망입니다.
🔮 만약 임명이 확정될 경우, 원 후보자는 여성가족부 ‘세대 교체’를 상징하는 첫 40대 장관이 됩니다.
전문가들은 “정책 추진 동력이 강할 수 있지만, 청년·여성 세대 갈등을 조정할 정치력이 시험대에 오를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 국민적 관심을 받는 ‘여성가족부 폐지’ 논의에 대해서는 “조직 논쟁보다 정책 효과성이 우선”이라며 구체적 논의를 유보했습니다.
이는 당장 부처 존폐를 둘러싼 소모적 갈등보다, 성과 중심 접근을 택하겠다는 메시지로 풀이됩니다.
🔍 앞으로 국회 일정과 별개로, 공직자 재산 검증 및 병역·납세 자료가 모두 공개되면 추가 논란 소지도 남아 있습니다.
원 후보자는 “검증 과정에서 숨김없이 소명하겠다”며 기자들의 세부 질문에 일일이 답변했습니다.
🏁 오늘 청문회는 여가부 정책 방향과 후보자의 사회적 신뢰도를 가늠하는 시험무대였습니다.
향후 보고서 채택과 대통령 임명 절차가 예정된 가운데, 원민경이라는 이름이 우리 사회 성평등 어젠다의 새 변화를 이끌어낼지 주목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