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업비트가 유엑스링크(UXLINK) 입출금을 23일 새벽 일시 중단했습니다.
1️⃣ 국내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는 공지를 통해 “보안 사고 정황이 포착돼 즉각적인 조치를 단행했다”고 밝혔습니다.
▲ 이미지 출처 : 업비트
2️⃣ 유엑스링크 측은 같은 날 오전, 공식 X(트위터)를 통해 “다중 서명(멀티시그) 지갑이 침해됐다”는 사실을 인정했습니다. 💬
“우리는 즉시 모든 지갑을 동결했으며, 피해 규모와 흐름을 체이널리시스 등 외부 보안사와 공조해 추적 중입니다.” — UXLINK 공식 계정
▲ 이미지 출처 : X(@UXLINKofficial)
3️⃣ 온체인 데이터에 따르면 해커가 빼낸 토큰 규모는 약 1,130만 달러로 추정됩니다. 일부 물량은 디파이 프로토콜로 이동했으며, 잔여 물량은 CEX로 분산됐습니다.
4️⃣ 공지 직후 UXLINK 시세는 업비트 KRW 마켓 기준 30% 이상 급락했으나, 추가 하락은 제한적인 모습입니다. 📉
5️⃣ 투자 커뮤니티 블라인드 · 에펨코리아 등에서도 “해킹설 때문에 급락한 것 아니냐”는 글이 빠르게 확산됐습니다.
6️⃣ 그럼에도 프로젝트 팀은 “토큰 이코노미와 로드맵에는 변함이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19일 공개된 뉴욕증권거래소 앞 티저 게시물은 여전히 ‘곧, 큰 것이 온다(Big things coming)’는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
7️⃣ 유엑스링크(UXLINK)는 “AI-Powered Web3 소셜 인프라”를 표방하며 X to Earn, Social Graph API, Super DApp Incubation 등을 제공합니다.
▲ 출처 : UXLINK 공식 웹사이트
8️⃣ 지난해 GOPAX·코빗 상장에 이어, 올해는 KBW 2025 골드 스폰서로 참여하며 국내 인지도를 넓혔습니다.
9️⃣ 하지만 멀티시그 지갑 해킹은 탈중앙화 프로젝트의 고질적 위험으로 지목돼 왔습니다. 전문가들은 “서명 키 분배 방식과 오라클 검증 절차가 미흡했다면 재발 우려가 있다”고 지적합니다.
🔍 가상자산 보안기업 페커쉴드 관계자는 “거버넌스 토큰 보관 지갑은 콜드월릿 또는 MPC 방식으로 이전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10️⃣ 거래소 리스크 대응도 빨라졌습니다. 업비트는 입출금 재개 조건으로 ‘프로젝트팀이 해킹 경로를 명확히 규명하고, 손실분을 100% 복구할 것’을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11️⃣ 현재 UXLINK 커뮤니티는 “피해액을 전액 보상하겠다”는 팀 발표와 동시에 커뮤니티 리워드 캠페인 연기를 공지했습니다.
12️⃣ 한편, 지난주 발표된 AVA Studio·HoloWorldAI와의 콘텐츠 크리에이터 보상 이벤트는 일정이 일시 정지됐지만, “완전히 취소되지는 않았다”는 설명입니다.
▲ 이미지 출처 : X(@UXLINKofficial)
13️⃣ 시장 분석가들은 “단기 변동성은 불가피하지만, 사회적 그래프 데이터·AI 추천 엔진을 접목한 웹3 소셜 카테고리는 여전히 성장 여력이 크다”고 평가합니다.
14️⃣ 다만, 투자자라면 △지갑 보안 체계 △사후 복구 플랜 △투명한 공시를 면밀히 살펴야 합니다. 🤔
15️⃣ 결론적으로, 유엑스링크는 위기를 맞았지만, 신속한 대응과 커뮤니티 소통으로 신뢰 회복에 나서고 있습니다. 향후 보상 방안과 ‘빅 어나운스’의 실체가 시장 심리를 좌우할 전망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