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news.nateimg.co_.krorgImghk2025070301.41006351.1.jpg

유튜버 대도서관, 부검 결과 뇌출혈로 별세…융단 추모 물결 속 건강 경각심 확산

| 라이브이슈KR 김태윤 기자


144만 구독자를 보유한 1세대 게임 크리에이터 대도서관(본명 나동현·47)님이 지난 6일 자택에서 세상을 떠났습니다. 부검 결과 사인은 뇌출혈로 확정됐으며, 발인은 9일 가족과 지인들의 배웅 속에 엄수됐습니다.

🕯️ “대도님의 정확한 사망 원인은 뇌출혈입니다. 팬분들께 허위 소문으로 상처가 커지지 않길 바랐습니다.” – 전처 윰댕

전 부인인 유튜버 윰댕(이채원) 씨는 9일 밤 유튜브 라이브를 통해 이같이 밝혔습니다. 그는 “혹시 남을 의혹이 없도록 부검을 진행했고, 최종적으로도 뇌출혈이 원인임이 확인됐다”고 전했습니다.

윰댕 씨는 일부 커뮤니티에서 제기된 가족력·상속 루머에 단호히 선을 그었습니다. “대도님 부친은 심근경색이 아닌 간경화로 돌아가셨고, 제 아들은 친양자가 아니기에 상속과 무관하다”는 점을 명확히 했습니다.

‘대도서관’이 남긴 디지털 유산

🖥️ 2011년 아프리카TV에서 방송을 시작한 그는 게임 공략·리뷰 콘텐츠를 통해 ‘정보형 스트리머’라는 새 지평을 열었습니다. 이후 유튜브로 플랫폼을 옮겨 144만 구독자, 누적 조회수 10억 회를 돌파하며 대한민국 게임·IT 분야 대표 인플루언서로 자리매김했습니다.

그가 진행한 ‘대도서관 LIVE’ 시리즈는 실시간 소통의 전범으로 평가받으며, 트위치·카카오TV 등 다양한 플랫폼의 포맷 발전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 뇌출혈, 왜 위험한가?

뇌출혈은 뇌혈관 파열로 혈액이 뇌조직에 스며드는 급성 질환으로 중증 응급상황입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국내 뇌출혈 환자는 매년 6만 명 안팎으로, 사망률 20~40%에 이르는 치명적인 질환입니다.

주요 원인은 고혈압·동맥경화·선천성 뇌혈관 기형 등이 있으며, 갑작스러운 두통·구토·반신마비로 발현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전문가들은 뇌출혈 예방을 위해 “정기 건강검진, 혈압 관리, 금연·절주가 필수”라고 강조합니다.

팬·업계 ‘온라인 분향소’ 자발적 개설

트위터·트위치·디스코드 등 커뮤니티에는 ‘#ThankYou대도서관’ 해시태그가 확산되며 추모글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구독자 최모 씨는 “10년간 퇴근 후 대도님의 방송으로 하루를 위로받았다”며 눈시울을 붉혔습니다.

국내 주요 e스포츠 구단과 게임사들도 조의를 표했습니다. 라이엇 게임즈 관계자는 “대도서관은 우리 산업 성장 과정의 동반자였다”고 평가했습니다.

채널 운영은 여동생이 정리

윰댕 씨는 “대도서관 채널 정리는 고인의 친여동생이 담당할 예정”이라며, 수익 일부를 기부하는 방향도 논의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대도서관 추모 사진

이미지 출처: 한국경제

‘뇌 건강’ 관리 체크리스트

  1. 35세 이상연 1회 뇌 MRI·MRA 권장
  2. 수축기 혈압 >140mmHg 시 전문의 상담
  3. 금연·저나트륨 식단, 주 150분 유산소 운동
  4. 이상 지질·당뇨병 동반 시 고위험군 분류

🩺 대한뇌졸중학회는 “조기 이상 징후를 감지하면 골든타임 3시간 내 치료로 후유증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조언합니다.

디지털 크리에이터 노동·건강 이슈 재조명

하루 10시간 라이브·편집 업무는 고강도 앉아있기수면 부족을 동반합니다. 서울대 보건대학원 김현수 교수는 “스트리머는 직업 특성상 뇌혈관질환 위험인자가 누적될 수 있다”며 체계적 건강 관리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정부·플랫폼 차원의 안전망 필요

IT 업계 관계자는 “콘텐츠 제작자의 정기 건강검진 지원멘탈 케어 프로그램이 시급하다”고 지적합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올 하반기 ‘1인 미디어 창작자 복지 가이드라인’을 발표할 예정입니다.

끝으로, 유족 측은 “무분별한 추측 대신 고인을 따뜻한 기억으로 추모해 달라”고 당부했습니다. 라이브이슈KR은 고인과 유족께 깊은 애도를 표하며, 독자 여러분도 나와 가족의 뇌 건강을 돌아보는 계기가 되길 바랍니다.

ⓒ 라이브이슈KR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