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CCTV 영상 유출 파문이 정치권과 법조계를 흔들고 있습니다. 19초 분량으로 알려진 해당 영상은 서울구치소 내 체포영장 집행 당시 상황을 담고 있어 파급력이 큽니다.

영상은 1일 밤 SNS를 중심으로 급속히 확산됐습니다. 최초 게시자는 삭제했으나, 캡처본이 재유포되며 사실상 통제 불능 상태가 됐습니다. 📱

윤석열 CCTV 영상 썸네일▲ 유튜브 YTN 화면 캡처

19초 동안 화면에 등장하는 윤석열 전 대통령베이지색 미결수복으로 추정되는 복장 혹은 상의 탈의 상태라는 상반된 해석을 낳고 있습니다. “당신이 검사 해봤나?”라는 반말성 발언도 논란을 키웠습니다.


법사위 의원들이 열람한 원본에는 속옷 차림·성경책 소지 정황이 포함돼 있다” — 국회 관계자(9월 2일)

더불어민주당·조국혁신당 의원들은 지난 1일 서울구치소를 찾아 윤석열 CCTV 영상을 직접 열람했습니다. 이들은 “인권 침해 주장은 과장”이라며 즉각 공개를 요구했습니다.

반면 국민의힘 신동욱 최고위원은 2일 라디오 인터뷰에서 “전체 국민에게 공개하자, 왜 야당 의원에게만 보여주느냐”고 맞받았습니다. 여야가 ‘전체 공개 vs 제한 공개’를 두고 정면충돌하는 양상입니다. ⚔️

법무부 조사 착수▲ 이데일리 제공

영상이 비공개 열람실 화면을 휴대폰으로 재촬영한 것으로 확인되면서 관리 책임 논란도 확산됐습니다. 법무부는 즉각 내부 감사에 착수했고, 유출자를 특정할 경우 형사 고발까지 검토 중입니다.

형사정책연구원 한 연구위원은 “교정시설 CCTV는 국가보안자료에 준한다”며 “영상정보보호법·형사소송법 위반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습니다.

전문가들은 “정보 공개가 공익 목적이라도 피의자 인권공공의 알 권리 간 균형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읍니다. 특히 전직 대통령 예우 문제도 민감한 변수로 꼽힙니다.

국민의힘 공개 요구▲ 한겨레 제공

국제적으로도 수감자 CCTV 공개 사례는 극히 드뭅니다. 미국·영국은 법원 명령 없이는 공개하지 않으며, 일본도 ‘사회적 파장’이 큰 경우에만 모자이크·음소거 처리 후 일부 공개합니다.

이번 사건은 내달 예정된 국회 법사위 국정감사 최대 쟁점으로 부상할 전망입니다. 야권은 “영상 원본 전량 확보”를, 여권은 “무분별한 정치 공세”를 각각 주장하며 기싸움을 이어갑니다.

일부 누리꾼은 딥페이크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했지만, 영상 속 프레임·타임코드가 교정본부 포맷과 일치해 위변조 가능성은 낮다는 분석입니다.

전문가들은 “윤석열 CCTV 영상을 둘러싼 공방이 장기화할 경우, 교정행정 전반에 대한 신뢰도 타격이 불가피하다”고 경고했습니다.

독자 여러분께서는 향후 공식 브리핑과 법무부 조사 결과를 지켜보며 확인되지 않은 정보 확산을 경계하시길 권합니다. 🔍

라이브이슈KR는 윤석열 CCTV 영상 관련 심층 추적 보도를 이어가겠습니다.

기사 작성 : 라이브이슈KR 취재팀


대표 이미지 출처 : YTN 유튜브 캡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