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1.daumcdn.netmediaimg-sectionsportsmetateamkbo390.png

🚀 이더리움(Ethereum, ETH)은 2024년 하반기 들어 다시 한 번 글로벌 투자 시장의 스포트라이트를 받고 있습니다.

가격이 3,000달러 선을 회복한 뒤 ETF 승인 기대감디파이(DeFi)·레어2 확장 이슈가 맞물리며 변동성이 커졌습니다.


① 이더리움 가격 동향*Yahoo Finance 기준입니다.

7월 18일 10:00(KST) 기준 3,158.5달러로 전일 대비 6.1% 상승했고, 시가총액은 3,700억 달러를 넘어섰습니다.

“ETH USD 일일 거래대금이 240억 달러를 돌파, 비트코인 대비 38%까지 점유율을 확대했습니다.” – CoinDesk Korea 분석

이더리움 가격 차트
이미지 출처: Yahoo Finance


② ETF 승인 모멘텀입니다.

미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스팟 이더리움 ETF’ 심사를 본격화하면서, 기관 자금 유입 기대가 커지고 있습니다.

지난 4거래일간 ETHE 그레이스케일 트러스트 순유입액이 이전 4개월 합계보다 많아졌다는 보고서도 나왔습니다.

이더리움 로고 이미지 출처: Reddit r/ethereum


③ 스테이킹 경제와 공급 축소 효과입니다.

‘더 머지(The Merge)’ 이후 POS 스테이킹으로 전환된 이더리움은 연간 순발행량이 음수로 돌아섰습니다.

이에 따라 ‘디플레이션 토큰’이라는 서사가 강화되며, 장기 보유 심리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현재 총 발행량 1억 2,071만 개 중 27%가 스테이킹 계약에 잠겨 유통 물량이 지속 감소하는 추세입니다.


④ 레이어2 및 롤업(roll-up) 생태계입니다.

아비트럼·옵티미즘·베이스 등 주요 Layer2 TVL이 390억 달러를 돌파하며, 가스비 절감 효과가 DApp 확장을 가속하고 있습니다.

코인데스크 이미지
이미지 출처: CoinDesk


⑤ 디파이·NFT·RWA(실물자산 토큰화) 트렌드입니다.

2024년 상반기 ETH 블록스페이스 수요는 ‘RWA 스테이블코인’채권 토큰화 프로젝트가 견인했습니다.

또한 블랙록·시티 등 글로벌 금융기관이 이더리움 기반 채권·펀드 파일럿을 공개하며 기관 신뢰도가 높아졌습니다.


⑥ 거버넌스 업그레이드: 덴쿤(Dencun) 하드포크입니다.

올해 4분기 예정된 ‘덴쿤’은 EIP-4844(프로토-덩크샤딩)을 포함, 롤업 데이터 비용을 최대 90% 절감할 전망입니다.

이는 DApp 개발자의 유저 온보딩 비용을 크게 낮춰, 메인스트림 채택을 앞당길 가능성이 큽니다.


⑦ 경쟁 구도 및 리스크입니다.

솔라나·아발란체 등 고성능 체인과의 TPS 경쟁, 그리고 SEC 규제 불확실성이 여전히 존재합니다.

특히 가스비 급등 시기가 재현될 경우, Layer2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중장기 네트워크 분산도를 저해할 수 있습니다.


⑧ 투자 전략 팁※투자 권유 아님입니다.

단기적으론 ETF 일정·FOMC 매크로 변수에 따른 변동성 트레이딩이 유효하지만, 장기 포지션은 덴쿤 업그레이드 이후 피보나치 0.618 지지선(2,800달러)을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스테이킹 APR(현재 3.2% 수준)을 감안해 복리 전략을 병행하면, 실질 수익률을 4~5%까지 끌어올릴 수 있습니다.


⑨ 체크리스트입니다.

  • SEC 스팟 ETF 승인 여부 및 예상 시점
  • EIP-4844 메인넷 배포 일정
  • Layer2 TVL·트랜잭션 수 성장률
  • 스테이킹 잠금 물량 변동
  • 매크로 금리·달러 인덱스(DXY) 흐름

⑩ 결론입니다.

이더리움네트워크 디플레이션·확장성 개선·기관 수요 확대라는 세 가지 축으로 중장기 상승 모멘텀을 확보했습니다.

다만 규제·경쟁 체인이라는 변수를 상시 모니터링하며, 분할 매수·스테이킹 병행 전략으로 리스크를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