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cdn.imweb_.methumbnail202505099308327eb6353.png

🌏 올해도 일본 노벨상 소식이 전 세계 과학계를 뜨겁게 달궜습니다.

스웨덴 왕립과학원은 8일(현지 시각) 화학 분야에서 금속-유기 골격체(MOF)를 개척한 기타가와 스스무 교토대 교수 등 3인을 수상자로 발표했습니다.

2025 노벨화학상 발표 장면

이미지 출처: JTBC 뉴스


📈 이로써 일본은 31번째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했습니다. 지난 6일 발표된 생리의학상에 이어 불과 이틀 만에 거둔 추가 수상이라 더욱 주목받고 있습니다.

통계 기준(1901~2025)으로 일본은 물리학상 12명, 화학상 9명, 생리의학상 6명, 기타 분야 4명을 기록했습니다.

지속적 기초연구 투자와 실패를 용인하는 문화가 일본 노벨상의 토양을 만들었습니다.” ― 다나카 마사유키 도쿄공대 명예교수

이번 화학상 연구 주제인 MOF는 수소 저장·탄소 포집·촉매 개발 등 탄소중립 시대 핵심 기술의 기반이 됩니다.

🧪 일본 노벨상 수상자들은 대부분 대학 내 장기 프로젝트를 통해 성과를 얻었습니다. 교토대, 도쿄대, 오사카대 등 국립대학 연구소가 중심입니다.

MOF 구조 시각화

이미지 출처: 서울경제

정부 차원의 R&D 예산도 결정적이었습니다. 일본 문부과학성은 연 4조 엔 이상을 기초과학에 투입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영광 뒤 과제도 분명합니다. 40대 이하 젊은 연구자 비중은 감소세이며, 연구의 내국인 편중 문제도 지적됩니다.

📊 실제로 최근 10년간 일본 노벨상 평균 수상 연령은 70세를 넘어섰습니다. 활력을 유지하려면 세대 교체가 필수입니다.

한국·중국·싱가포르 등 아시아 이웃국가의 연구 투자 확대도 일본에 자극이 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국제 공동연구 확대’와 ‘창업 생태계 연계’를 신(新)전략으로 꼽습니다. 기초성과를 산업화 단계로 연결해야 지속 가능하다는 분석입니다.


🔍 키워드 정리

  • 일본 노벨상 ― 31회 수상, 기초과학 강세
  • MOF ― 금속과 유기 리간드 결합, 다공성 소재
  • 기초연구 예산 ― 연 4조 엔 규모
  • 세대 교체 ― 평균 수상 연령 70세↑

🎯 결론적으로, 일본 노벨상은 국가 과학 정책의 결과물이며 동시에 미래 혁신의 시험대입니다. 세계는 ‘Made in Japan 연구법’이 다음 세기에도 통할지 주목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