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북대학교는 1947년 개교 이후 호남권 최초·최대의 국립대학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최근 ‘Glocal University’ 비전을 선포하며 교육·연구·지역상생 3대 축을 강화해 주목받고 있습니다.
ⓒ 전북대학교 홈페이지
개교 78주년을 맞은 전북대학교는 16개 단과대학, 3개 학부, 1개 독립학부, 1개 특성화대학(수의과대) 등 122개 학과(부)를 운영합니다. 특히 간호·수의·약학·농생명·AI·반도체 등 국가 전략 분야 인재 양성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The Best Glocal University” – 지역을 넘어 세계로, 전북대의 새로운 슬로건입니다.
1. 역사와 위상
전북대학교는 전주 ‘육군 군경학교’ 터에서 출발했습니다. 2000년대 후반 광역시급 대학 혁신 사업을 통해 캠퍼스가 첨단화됐으며, 2023년부터 4단계 BK21 사업 23개 교육·연구단을 운영해 연구 경쟁력을 끌어올렸습니다.
2. 캠퍼스 & 인프라
덕진·고창·특성화·새만금 등 4개 캠퍼스, 부지 1,900,000㎡ 규모를 자랑합니다. 스마트 팜 실증단지, 반도체 공정 실습센터, Create IT 라운지 등 최첨단 시설을 갖추어 학생·지역기업이 함께 활용 중입니다.
ⓒ BK21 JIANT-IT 사업단
3. 학사 혁신
전북대학교는 ‘융합전공 3.0 모델’을 도입했습니다. AI·데이터사이언스, 스마트농업, 문화콘텐츠 등 15개 융합전공을 통해 학생은 전공 1+@ 형태로 2개의 전공 역량을 갖추게 됩니다.
4. 연구 경쟁력
전북대 반도체특성화대학사업단은 삼성·하이닉스와 산학협력을 맺고 ‘JUICE-SEMICON’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300mm 공정 실습, PDK 기반 칩 설계 교육 등 실무 중심 커리큘럼이 특징입니다.
ⓒ 전북대 스포츠과학과
5. 글로벌 네트워크
전북대학교 동남아연구소는 아세안 10개국 42개 대학과 공동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K–MOBILITY’ 장학 프로그램을 통해 연 500명 이상의 교환학생을 파견·유치합니다.
6. 입시 포인트
– 2025학년도 학부 외국인 특별전형 8월 5일~9월 30일 접수
– 학생부교과 55%, 학생부종합 35%, 실기·면접 10% 비율 유지
– 반도체·AI 융합학부, 스마트팜학과 등 신설전공 정원 180명 확대
전북대학교 입학처(admissionu@jbnu.ac.kr)는 “학부 모집인원 중 40%를 지역균형·고른기회 전형으로 선발한다”고 밝혔습니다.
7. 학생 경험
금융권 취업동아리 ‘Wall Street’, 스포츠과학과 ‘청렴의 날’, 인스타 핫플 ‘전북대 천궁’ 우동데이처럼 캠퍼스 안팎에서 다양한 문화·창업·취업 프로그램이 운영됩니다.
8. 지역상생 전략
전북대 산학협력단은 새만금 재생에너지, 전주 한옥마을 관광벤처 등 1,180여 개 기업과 협력해 연 매출 9,800억 원의 지역경제 파급효과를 창출했습니다.
9. 디지털 전환
모바일 학생증 ‘JBNU PASS’, AI 챗봇 ‘자비AI’, 메타버스 강의실 등으로 학사·행정 절차를 디지털화했습니다. 이를 통해 학생 만족도 93%(2024 대학 생활 만족도 조사)를 기록했습니다.
10. 지속가능 캠퍼스
전북대학교는 2030년까지 탄소배출 50% 감축을 목표로 태양광 8MW, 지열 냉·난방 시스템을 도입했습니다. 교내 전기버스 24대가 매일 6,000명의 통학을 지원합니다.
11. 동문 네트워크
졸업생 26만 명이 국회·법조·언론·글로벌 기업에 포진해 있습니다. ‘JBNU 글로벌 동문 플랫폼’을 통해 73개국, 12만 명이 실시간으로 멘토링·채용 정보를 공유합니다.
12. 미래 비전
2028년까지 ‘JBNU INNOVATION 5.0’ 플랜을 가동해 연구중심대학 Top10, QS 아시아 100위권 진입을 목표로 합니다. 지역과 세계가 동시 성장하는 Glocal 혁신 허브가 핵심 키워드입니다.
✅ 결론
전북대학교는 학과·입시·연구·상생 모든 측면에서 빠르게 진화하고 있습니다. “지역을 넘어 세계로”라는 모토처럼, 전북대는 학생에게 글로벌 무대를 향한 디딤돌이자 지역사회에는 혁신 성장 엔진으로 기능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