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1.daumcdn.netmediaimg-sectionsportsmetateamkbo390.png

🎓 전북대가 최근 ‘The Best Glocal University’ 비전을 앞세워 학사·연구·산학협력 전 영역에서 눈에 띄는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1. 글로컬 혁신 선정 배경*교육부 2024 – 정부가 추진하는 글로컬 대학 육성 사업에서 전북대는 지역 특화 연구 역량과 국제 교류 실적을 인정받았습니다.

특히 농·축산·수의학 분야 외국학술지지원센터 구축 사례가 대표적입니다.


2. 통합 학사행정 시스템 ‘OASIS’ – 수강신청·장학·생활관 업무를 한 번에 처리하도록 고도화했습니다. 최근 3시간 전 업데이트로 모바일 접근성이 크게 향상됐습니다.

학생들은 “대기 시간 단축으로 체감 만족도가 높아졌다”는 평가를 내놓습니다.


3. 대학원 전략전북대학교 대학원창의적 고급인재 양성 목표 아래 2025학년도부터 AI+X 융합 트랙을 확대합니다.

바이오·지능형로봇·에너지 클러스터와의 연계로 석·박사 풀타임 연구장학도 신설됐습니다.


4. 신설 학부 ‘컴퓨터인공지능학부’ – 2024년 큰사람프로젝트 매뉴얼(3개 언어)을 발간하며 글로벌 학습 환경을 강조했습니다.

2025학년도 등록금 납부 일정은 1월 8~12일로 확정돼 조기 납부 장려 장학이 도입됩니다.


5. 바이오메디컬공학부캠퍼스 주차요금 인상 여파에도 무료 건강검진 2차 실시로 학생 복지 균형을 맞췄습니다.

신입생-재학생 멘토링 프로그램은 멘토 9:1 경쟁률을 기록할 정도로 인기입니다.


6. 도시공학과·영어영문학과 소식 – 지속가능 도시계획 전공 신설, 영어영문학과는 융합인문학 강좌를 개설했습니다.

두 학과 모두 전북대 특유의 실습 중심 커리큘럼으로 현장 즉시 투입형 인재를 키웁니다.


7. 산학협력·창업 – 학교기업 12곳, 기술지주회사가 2025년까지 매출 1,000억 원 달성을 목표로 합니다.

전북대 학생 창업팀은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다.” – 창업지원단장 발언


8. 국제화 지표 – 2024 QS Asia 166위, 교환학생 파견 국가가 45개국으로 확대됐습니다.

💡 비자·숙소·언어교육 ‘원스톱 지원’이 교환·유학생 만족도를 끌어올렸습니다.


9. 연구 성과 – 연간 SCI(E) 논문 1,530편, 기술이전 수입 149억 원으로 역대 최고치를 갱신했습니다.

그 중심에는 AI농업·연료전지·수의바이러스 특성화 연구소가 있습니다.


10. 문화·미디어 활동전북대학교 신문방송사는 메타버스 스튜디오를 도입해 실시간 뉴스 제작 환경을 혁신했습니다.

학생 기자들의 현장감 있는 리포팅이 지역 사회에서도 화제를 모읍니다.


11. 지역 상권과 상생 – ‘전북대옷가게 워니원’ 등 캠퍼스 주변 상권은 로드숍 + SNS 연동 마케팅으로 매출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습니다.

📈 저렴한 로우쭈리팬츠가 최근 완판되며 학생 소비 트렌드를 주도했습니다.


12. 친환경·스마트캠퍼스탄소중립 실천을 위해 전력 사용량 모니터링 IoT를 전 건물에 설치했습니다.

1년 만에 전력 12% 절감 성과가 나타났습니다.


13. 취·창업 지원Job&U 센터는 1:1 튜터링과 글로벌 기업 매칭 프로그램으로 2024년 취업률 75.3%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바이오·반도체 분야 취업이 두드러집니다.


14. 2025학년도 입시 포인트 – 정원 외 지역인재전형 확대, AI 면접 도입으로 공정성을 높였습니다.

전문가들은 “적성·잠재력 중심 평가가 수험생 부담을 줄일 것”이라고 전망합니다.


15. 종합 전망전북대는 지역 기반을 넘어 글로벌 거점 대학으로 자리매김 중입니다. 학사 혁신·연구 질적 성장·산학협력 삼박자가 맞물리며 ‘전북대 르네상스’를 열고 있습니다.

이 같은 흐름을 이어간다면 향후 5년 내 전국 거점 국립대 중 TOP3 진입도 가능하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이미지 출처: 전북대학교 대학원 공식 로고 (© JBNU Graduate School)

전북대학교 로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