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의당은 2012년 창당 이후 한국 진보정치의 대표 주자로 자리매김했습니다.
최근 국회 의석은 감소했지만, 노동‧기후‧인권 중심 의제를 꾸준히 제기하며 존재감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노동 의제가 가장 두드러집니다. 정의당은 ⭕ 주52시간제 현실화, ⭕ 중대재해처벌법 강화, ⭕ 플랫폼노동자 보호를 최우선 과제로 삼습니다.
최근 쿠팡 용인센터 노동자 사망 사건과 같이 현장 사고가 발생할 때마다 정의당은 즉각 특별근로감독을 촉구했습니다.
🌍 기후 정의 분야에서도 목소리가 큽니다. 2030 NDC(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 상향, 탄소세 도입, 재생에너지 50% 목표를 공약으로 내세웠습니다.
특히 ‘Green New Deal 2.0’을 통해 석탄발전 조기 폐쇄와 정의로운 전환 기금을 강조합니다.
🎓 청년 정책은 주거와 일자리 두 축으로 전개됩니다. 월세 상한제, 청년기초자산제가 대표 사례입니다.
소수자 인권 역시 핵심입니다. 정의당은 차별금지법 제정을 위해
“모든 차별, 이제 그만”
이라는 캠페인을 전개했습니다.
정치적으로는 교섭단체 기준(20석)을 충족하지 못했지만, 국회 환경·복지·노동 상임위에서 날 선 질의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지방의회에서는 70여 명의 정의당 지방의원이 생활 밀착형 조례를 발의하며 전국으로 의제를 확산 중입니다.
리더십 측면에서는 심상정·장혜영·이정미 등 다수의 대표급 인물이 세대교체를 논의하고 있습니다.
대구 동구청장 비리 의혹과 같이 지역 현안이 불거질 때마다 시민사회와 공동 기자회견을 열어 압박 수위를 높였습니다.
‘비상구’ 프로젝트는 노동·청년 상담 플랫폼으로 성장했습니다. 올해 상반기만 1,200건의 신고가 접수됐습니다.
2026년 총선을 앞두고 녹색·진보 세력 간 연대, 완전 비례대표제 도입이 전략적 화두로 부상했습니다.
🔍 정의당은 규모보다 가치로 승부하고 있습니다. 노동·기후·인권 의제를 선명하게 제시할 때 유권자의 지지가 확장된다는 분석이 나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