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국의 위안부’ 저자 박유하 명예교수가 다시 뜨거운 논쟁의 한가운데 섰습니다. 대한출판문화협회가 한국출판공로상 특별공로상을 수여하기로 했다가 하루 만에 전격 취소했기 때문입니다.
1️⃣ 취소 결정의 배경입니다. 출협은 “1선정 과정에서 위안부 피해자‧국민의 감정을 충분히 헤아리지 못했다”고 밝혔습니다. 결국 여론 반발이 결정적이었습니다.
2️⃣ 박유하 교수는 『제국의 위안부』에서 “강제 연행은 없었다”고 서술해 위안부 논란을 촉발했습니다. 이 문장은 2013년 출간 직후부터 학계와 시민사회로부터 거센 비판을 받았습니다.
“학문적 자유를 존중하되, 역사적 상처에 대한 책임을 외면해선 안 된다.” —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3️⃣ 2015년 피해자 9명이 명예훼손 소송을 제기했고, 출판·배포 금지 가처분이 내려졌습니다. 서울고법·서울중앙지법을 거쳐 2025년 7월 대법원은 “일부 표현은 위법, 그러나 전체 금지는 과도”라며 파기환송했습니다.
▲ 사진 출처: 연합뉴스(2025.10.01)
4️⃣ 이번 특별공로상은 ‘학문‧출판 자유 수호’ 공로를 이유로 선정됐으나, 위안부 피해자 단체와 시민사회는 “역사 왜곡에 면죄부를 준다”고 즉각 반발했습니다.
5️⃣ 온라인 공간에서도 ‘#박유하_공로상_취소’ 해시태그가 확산됐습니다. X(구 트위터)에는 10시간 만에 1만 건 이상의 게시물이 올라왔습니다.
6️⃣ 학계는 두 갈래입니다. 찬성 측은 “표현의 자유 보호가 우선”이라 주장하고, 반대 측은 “학문 책임이 동반되지 않는 자유는 공허하다”고 지적합니다.
7️⃣ ‘제국의 위안부’ 핵심 쟁점
- “자발적 매춘” vs 강제동원 역사 기록
- 한‧일 ‘동행’ 담론과 식민지 피해 서사 충돌
- 피해자 증언의 사료적 가치와 해석 권한
8️⃣ 전문가들은 “검증되지 않은 사료를 확대 해석해선 안 된다”며, ‘객관적 연구윤리’ 확립을 촉구합니다.
9️⃣ 반면 출협은 “결정 번복으로 출판 자유가 위축될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그러나 여론은 “역사 왜곡과 자유는 별개”라는 입장이 우세합니다.
▲ 사진 출처: 중앙일보(2025.10.01)
🔟 국제적으로도 주목받는 사안입니다. 일본 우익 매체는 “검열”이라 비판했지만, 유엔 인권기구는 “피해자 인권을 우선시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11️⃣ 위안부 문제는 단순 학술 논쟁이 아니라 인권·여성·평화와 직결돼있습니다. 때문에 ‘표현의 자유’와 ‘역사 정의’ 사이 균형이 필수적입니다.
12️⃣ 이번 결정은 출판업계에도 파장을 남겼습니다. 업계 관계자들은 “책의 날 행사 명예 실추”를 걱정하며 재발 방지 장치를 논의 중입니다.
13️⃣ 동시에 학계 내부 자성 목소리도 커졌습니다. ‘동아시아 근현대사’ 학회는 다음 달 긴급 세미나를 열어 박유하 사태를 사례로 ‘연구윤리 강화 방안’을 논의합니다.
14️⃣ 교육 현장 역시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고교 역사교사들은 “검증된 교재 사용 지침을 재정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15️⃣ 종합하면, 박유하 특별공로상 취소는 ‘자유와 책임’의 경계선을 다시 묻는 계기가 됐습니다. 역사를 다룰 때 무엇보다 피해자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 것이 우리 사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임을 일깨워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