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03_1843_모던한 라이브이슈KR 로고_simple_compose_01jwtjnbhnfrmr2ew2618jjkdz

🇰🇷 제77주년 제헌절을 맞아 헌법 가치와 개헌 필요성이 다시 주목받고 있습니다.


헌법은 국가 운영의 근간이자 국민 기본권을 보장하는 최고 규범입니다.

1948년 7월 17일 제정된 이후 9차례 개헌을 거치며 시대 변화에 대응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오늘 메시지에서 “달라진 현실에 맞는 새 헌법 정비“를 강조했습니다.1

특히 5·18 민주화운동 전문 수록·국민 기본권 강화·지방분권 확대·권력기관 개혁을 핵심 과제로 제시했습니다.


📌 국민 기본권 강화디지털 프라이버시·AI 알고리즘 투명성·기후권신(新)권리 명문화 논의로 이어집니다.

전문가들은 “디지털 기본권은 4차 산업혁명 시대 필수”라고 분석합니다.


1948년 헌법 원본
▲ 1948년 공포된 대한민국 헌법 원본 (사진: Wikimedia Commons)

📝 지방분권 항목에서는 재정 자율권 확대행정·입법권 일부 이양이 쟁점입니다.

전문가들은 “지방정부의 실질적 권한이 국가 경쟁력을 높인다”고 강조합니다.


다시 헌법을 생각합니다 방송 화면
▲ 헌법 토론이 이어지는 시사 프로그램 화면 캡처 (출처: YouTube ‘백운기의 정치1번지’)

⚖️ 권력기관 개혁 분야에서는 헌재·대법원 관계, 검찰·경찰 수사권 조정이 논의됩니다.

오영준 헌법재판관 후보자는 “대법원 판결도 헌법소원 대상”이라며 사법 권한 조정을 시사했습니다.2


국회는 올 하반기 ‘국민중심개헌특위’ 구성을 추진하며 공론화 절차를 예고했습니다.

시민 참여 플랫폼과 모의 국민의회를 통해 온라인 투표·무작위 추첨 방식이 검토 중입니다.


교육 현장에서도 생활 속 헌법 탐구 프로그램이 활성화되고 있습니다.

교육부는 ‘헌법 탐구생활’ 블로그·영상 챌린지를 통해 MZ세대 관심을 높이고 있습니다.


해외 사례도 참고할 만합니다.

독일은 1949년 기본법 제정 후 ‘인간 존엄’ 조항을 단 한 번도 수정하지 않았고, 프랑스는 2008년 환경 헌장을 편입했습니다.


전문가들은 “국가 정체성미래 비전을 동시에 담는 것이 성공적 개헌의 열쇠”라고 조언합니다.

또한 “헌법이 생활 속에서 작동하려면 시민 교육정치권 리더십이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제헌절은 과거를 기념하는 동시에 새로운 사회계약을 설계하는 출발점입니다.

국민 모두가 헌법의 의미를 되새기며, 개헌 논의에 적극 참여해야 할 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