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핵심 한눈에
- 조국혁신당 성비위 사건 가해자 2명 제명·자격정지 조치
- 피해자 측 “2차 가해 방지·외부 조사 미흡” 지적
- 강미정 대변인 탈당 발표… 당 지도부 책임론 확산
조국혁신당이 내부 성비위 사건의 가해자를 제명했음에도, 피해자 보호와 조직 문화 개선 방식을 두고 논쟁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강미정 대변인이 피해자 지원 미흡을 이유로 4일 탈당하면서 논란이 재점화됐습니다.
이번 사건은 지난 4월 혁신당 (당시 신생 정당) 당직자 간에서 벌어진 성추행·괴롭힘 고소로 촉발됐습니다.
“당헌·당규에 따른 절차를 모두 완료했다.” — 조국혁신당 윤리위
그러나 피해자 측은 외부 전문가 참여와 2차 가해 차단이 충분히 이뤄지지 않았다고 주장했습니다. “가해자와 가까운 인물이 조사위에 포함됐다”는 반발까지 제기되며 갈등이 깊어졌습니다.
당 윤리위원회는 6월 성폭력 가해자 2명에 대해 ▲1명 제명 ▲1명 당원자격정지 1년을 의결했습니다. 그럼에도 직무 정지 시점·근무지 분리 과정이 늦어졌다는 비판이 이어졌습니다.
▲ 사진=연합뉴스 / 사용 목적=보도
강 대변인은 국회 소통관 기자회견에서 “피해자 절규가 묻혔다”며 지도부·조직문화 책임론을 제기했습니다. 반면 당 지도부는 “피해자 요구사항을 반영했다”며 유감 입장을 밝혔습니다.
여기에 더불어민주당 최강욱 교육연수원장이 “그렇게 죽고 살 문제냐”고 발언한 사실이 알려지자, 민주당은 즉각 긴급 진상조사를 명령했습니다. 정치권 전반으로 2차 가해 논란이 번지는 양상입니다.
현재 피해자 측은 국가인권위 진정 및 노동부 조사도 검토 중입니다. 법조계는 “직장 내 성희롱은 사용자 보호 의무 위반 여부가 핵심”이라 설명했습니다.
▲ 사진=한겨레 / 사용 목적=보도
정치권 안팎에서는 당내 성평등 시스템 강화 요구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성인지 교육 의무화, 외부 독립기구 상설화를 대안으로 제시합니다.
📌 사건 경과 타임라인
- 2025.04 1차 고소 및 피해 사실 공론화
- 2025.06 윤리위, 가해자 중징계 의결
- 2025.08 조국 전 대표 특별사면 후 복귀
- 2025.09.04 강미정 대변인 탈당 기자회견
한편 조국 전 대표는 “법적 절차를 존중한다”는 짤막한 입장만 내놓은 상태입니다. 이에 따라 “지도부 침묵”이 당 안팎의 논란을 더욱 키우고 있습니다.
국민들은 당의 투명한 후속 조치를 지켜보고 있습니다. 피해자 보호·가해자 징계가 실효성을 갖추려면, 제도·문화 전반의 혁신이 요구된다는 지적입니다.
라이브이슈KR은 조국혁신당 성비위 사건 관련 후속 진전과 법적 판단을 계속 모니터링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