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cdn.imweb_.methumbnail202505099308327eb6353.png

😊 중국 단체관광객 무비자 입국 제도가 29일부터 전국으로 확대됩니다. 법무부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와 무관하게 예정대로 시행한다”고 밝혔습니다.


무비자 입국은 3인 이상 단체 관광객이 여행사 전담으로 입국할 때 15일간 비자 없이 체류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기존 제주 한정 무사증 제도가 본토 공항까지 확대된 셈입니다.

이번 조치는 K-관광 회복을 위한 한시 정책으로, 2026년 6월 30일까지 시범 운영됩니다. 🔍 핵심 키워드인 ‘무비자 입국’은 중국 국경절·APEC 정상회의 등 대규모 유커(遊客) 유입과 직결됩니다.


“전산망 복구 전에는 보안 우려가 있다”는 야권 반발에도 정부는 “사전 명단 점검·고위험군 제외로 안전을 담보했다”고 재확인했습니다.

정치권 논쟁에도 관광·면세·항공 업계는 매출 반등 기대감에 들썩입니다. 특히 면세점은 “국경절 쇼핑 특수가 현실화된다”고 전망했습니다.


인천공항 중국 단체관광객
사진=Unsplash

그러나 무비자 입국소비 양극화와 불법 체류 증가를 초래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정부는 얼굴인식·사전승인 API로 불법 요소를 원천 차단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

여행객은 전자여행허가(K-ETA) 대신 전담 여행사 전산 등록만 거치면 됩니다. 출국 시 왕복 항공권·호텔 바우처 확인이 필수입니다.

현재 중국 본토·홍콩·마카오 국적만 적용되며, 대만·동남아 추가 확대는 내년 상반기 검토 중입니다. 인천·김해·대구·청주 등 7개 국제공항이 전용 패스트 트랙을 운영합니다.


면세점 쇼핑
사진=Unsplash

항공사들은 국경절(10.1~10.7) 기간 중국 노선 좌석 공급을 40% 이상 늘렸습니다. 면세‧백화점은 고가 화장품·명품 라인업을 리뉴얼하며 ‘유커 재유치’에 총력입니다.

제주도는 ‘환승형 관광’을 마련해 크루즈·저가항공 연결상품을 출시했습니다. “단체 무비자 입국은 지역 균형 관광에 호재”라는 분석입니다.

전문가들은 “방역·치안·환대 서비스가 동반돼야 지속 성장이 가능하다”고 조언합니다. 실제 2016년 사드 사태처럼 정치 리스크가 다시 불거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해외 여행객 유치를 위해 법무부는 입국 스탬프 대신 모바일 증명 도입을 추진 중입니다. 이는 출입국 혼잡 완화와 ‘무비자 여권 훼손’ 방지 효과가 있습니다.


✈️ 여행 팁: 무비자 입국 절차는 ①전담 여행사 예약 → ②명단 사전 제출 → ③패스트 트랙 입국 → ④15일 이내 출국 순서입니다. 체류 연장·업무 활동은 불가하며 위반 시 즉시 강제 출국됩니다.

끝으로 전문가들은 “무비자 입국K-컬처·K-쇼핑 확산의 기폭제가 될 것”이라며, “지역 경제와 안전 관리가 조화를 이뤄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