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청년도약계좌, 내년 말 종료를 앞두고 있습니다
정부가 2023년 6월 출시한 청년도약계좌는 5년 만기 목돈 마련을 지원하는 대표적인 청년 정책금융상품이었습니다.
2025년 12월 비과세 혜택 일몰이 예정되면서, 올해 안에 가입해야 5년 동안 모든 지원을 그대로 받을 수 있습니다.
1️⃣ 상품 구조 한눈에 보기
월 최대 70만 원 자유적립 + 정부기여금 월 최대 6만 원 + 기본·우대금리 = 만기 5년 후 최대 5,000만 원+
- 기본금리: 최초 3년 고정, 이후 2년 변동
- 정부기여금: 개인소득‧가구소득에 따라 차등 (연 6% 수준)
- 우대금리: 청년전용 조건(자동이체·급여이체·신용카드 실적 등) 충족 시 추가
2️⃣ 2025년 가입조건 완화 내용
▶ 개인소득 기준 연 6,000만 원 → 7,000만 원으로 상향
▶ 가구소득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 유지
▶ 만 19~34세 청년이면 군복무 기간 최대 6년 인정
3️⃣ 8월 1~14일 4차 모집 일정 🔔
이번 차수는 온라인·모바일로만 신청이 가능하므로, 미리 공동인증서·소득증빙 서류를 준비해야 합니다.
이미지 출처: 정책브리핑
4️⃣ 은행별 우대금리 비교
은행 | 최고금리(세전) | 주요 우대 조건 |
---|---|---|
KJB광주은행 | 6.00% | 급여·공과금 자동이체 |
KB국민은행 | 5.95% | 머니버스 챌린지 참여 |
우리은행 | 5.90% | WON뱅킹 평생계좌 사용 |
우대금리는 고정금리 3년 구간에만 적용되므로, 초기 36개월 동안 조건을 충족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5️⃣ 세제 혜택과 정부기여금 시뮬레이션
총 납입액 4,200만 원(월 70만 원 × 60개월) 가정 시, 정부기여금 약 360만 원 + 이자소득세 비과세 효과로 실수령액 약 5,000만 원 달성이 가능합니다.
과세 전 이자가 500만 원 발생한다면, 일반 적금보다 최대 73만 5,000원 세금 절감 효과가 있습니다.
6️⃣ 청년미래적금과 무엇이 다를까? 🤔
기획재정부는 2026년부터 청년미래적금을 도입해 연 50만 원 한도, 정부매칭 방식을 예고했습니다.
따라서 납입 상한·기여금·세제혜택 면에서 기존 청년도약계좌가 더 유리할 수 있습니다.
7️⃣ 가입 전 체크리스트 ✔️
- 소득·가구 기준 충족 여부 확인
- 비대면 신청 가능 은행 앱 설치
- 자동이체 설정 & 신용카드 실적 계획
- 중도해지 시 정부기여금 환수 조건 숙지
8️⃣ 전문가 코멘트 📢
“금리 변동성이 커진 시기이지만, 비과세 + 정부기여금을 동시에 받을 수 있는 마지막 기회라는 점에서 매력적입니다.” – 김지은 하나금융연구소 연구위원
9️⃣ 자주 묻는 질문(FAQ)
Q1. 기존 청년희망적금 만기자는 중복 가입이 가능한가요?
👉 가능합니다. 만기자 전용 일시납입 기능도 제공됩니다.
Q2. 해외 거주 청년도 가입할 수 있나요?
👉 국내 거주 요건을 충족해야 하며, 6개월 이상 해외 체류 시 정부기여금이 중단될 수 있습니다.
Q3. 중도해지 시 불이익은?
👉 정부기여금 전액 환수 + 우대금리 회수 + 과세 전환 등이 발생해 실수령액이 크게 줄어듭니다.
🔚 마무리
올해가 청년도약계좌의 사실상 마지막 가입 기회입니다.
젊은 세대의 중장기 목돈 마련, 금리 상승 리스크 헤지, 세제 혜택 극대화를 노린다면 8월 모집부터 서둘러 준비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