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cdn.imweb_.methumbnail202505099308327eb6353.png

💼 청년도약계좌, 내년 말 종료를 앞두고 있습니다

정부가 2023년 6월 출시한 청년도약계좌5년 만기 목돈 마련을 지원하는 대표적인 청년 정책금융상품이었습니다.

2025년 12월 비과세 혜택 일몰이 예정되면서, 올해 안에 가입해야 5년 동안 모든 지원을 그대로 받을 수 있습니다.


1️⃣ 상품 구조 한눈에 보기

월 최대 70만 원 자유적립 + 정부기여금 월 최대 6만 원 + 기본·우대금리 = 만기 5년 후 최대 5,000만 원+

  • 기본금리: 최초 3년 고정, 이후 2년 변동
  • 정부기여금: 개인소득‧가구소득에 따라 차등 (연 6% 수준)
  • 우대금리: 청년전용 조건(자동이체·급여이체·신용카드 실적 등) 충족 시 추가

2️⃣ 2025년 가입조건 완화 내용

▶ 개인소득 기준 연 6,000만 원 → 7,000만 원으로 상향

▶ 가구소득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 유지

▶ 만 19~34세 청년이면 군복무 기간 최대 6년 인정


3️⃣ 8월 1~14일 4차 모집 일정 🔔

이번 차수는 온라인·모바일로만 신청이 가능하므로, 미리 공동인증서·소득증빙 서류를 준비해야 합니다.

청년도약계좌 안내 이미지
이미지 출처: 정책브리핑


4️⃣ 은행별 우대금리 비교

은행 최고금리(세전) 주요 우대 조건
KJB광주은행 6.00% 급여·공과금 자동이체
KB국민은행 5.95% 머니버스 챌린지 참여
우리은행 5.90% WON뱅킹 평생계좌 사용

우대금리는 고정금리 3년 구간에만 적용되므로, 초기 36개월 동안 조건을 충족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5️⃣ 세제 혜택과 정부기여금 시뮬레이션

총 납입액 4,200만 원(월 70만 원 × 60개월) 가정 시, 정부기여금 약 360만 원 + 이자소득세 비과세 효과로 실수령액 약 5,000만 원 달성이 가능합니다.

과세 전 이자가 500만 원 발생한다면, 일반 적금보다 최대 73만 5,000원 세금 절감 효과가 있습니다.


6️⃣ 청년미래적금과 무엇이 다를까? 🤔

기획재정부는 2026년부터 청년미래적금을 도입해 연 50만 원 한도, 정부매칭 방식을 예고했습니다.

따라서 납입 상한·기여금·세제혜택 면에서 기존 청년도약계좌가 더 유리할 수 있습니다.


7️⃣ 가입 전 체크리스트 ✔️

  1. 소득·가구 기준 충족 여부 확인
  2. 비대면 신청 가능 은행 앱 설치
  3. 자동이체 설정 & 신용카드 실적 계획
  4. 중도해지 시 정부기여금 환수 조건 숙지

8️⃣ 전문가 코멘트 📢

“금리 변동성이 커진 시기이지만, 비과세 + 정부기여금을 동시에 받을 수 있는 마지막 기회라는 점에서 매력적입니다.” – 김지은 하나금융연구소 연구위원


9️⃣ 자주 묻는 질문(FAQ)

Q1. 기존 청년희망적금 만기자는 중복 가입이 가능한가요?
👉 가능합니다. 만기자 전용 일시납입 기능도 제공됩니다.

Q2. 해외 거주 청년도 가입할 수 있나요?
👉 국내 거주 요건을 충족해야 하며, 6개월 이상 해외 체류 시 정부기여금이 중단될 수 있습니다.

Q3. 중도해지 시 불이익은?
👉 정부기여금 전액 환수 + 우대금리 회수 + 과세 전환 등이 발생해 실수령액이 크게 줄어듭니다.


🔚 마무리

올해가 청년도약계좌사실상 마지막 가입 기회입니다.

젊은 세대의 중장기 목돈 마련, 금리 상승 리스크 헤지, 세제 혜택 극대화를 노린다면 8월 모집부터 서둘러 준비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