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news.nateimg.co_.krorgImgtr202507031d95fb49-42a5-4c8b-be33-cda52b9a5df3.jpg

라이브이슈KR 김도윤 기자 📰


통계청이 지난달부터 국가데이터처라는 새 간판을 내걸면서 첫 정책 통계를 발표했습니다.

가장 큰 화두는 청년 고용률 17개월 연속 하락이라는 충격적 수치였습니다.


국가데이터처 발표(10월 19일)
15~29세 고용률 45.1%…전년 동월 대비 –0.7%p

이번 수치는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였던 2009년 이후 최장기 하락세로 기록됐습니다.

전반적 고용률은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지만, 청년층만 역주행하고 있다는 점이 정책 당국에 큰 숙제를 남겼습니다.


🔍 왜 이런 결과가 나왔을까요?

전문가들은 제조업 감원서비스업 채용 지연을 동시 원인으로 지목합니다.

또 다른 관점으로는 학령인구 감소와 구직 포기자의 증가가 꼽히고 있습니다.

실제로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부가자료에 따르면 ‘쉬었음’ 인구 중 20대 비중이 1년 새 8% 늘었습니다.


📊 통계청의 데이터 서비스 2.0

이와 동시에 통계청은 나라통계 2.0 플랫폼을 공개하며 API 기반 오픈데이터 확대를 선언했습니다.

개발자는 고용·물가·인구 등 6,200여 개 지표를 실시간 호출할 수 있어, 스타트업·연구기관 활용도가 대폭 상승할 전망입니다.

나라통계 2.0 화면

▲ 이미지 출처 : 통계청 나라통계 2.0

또한 통계조사관 350명을 공개 채용하고, AI 기반 자동 검증 시스템을 도입해 데이터 정확도를 높인다는 계획입니다.


💡 실생활 활용 팁

1) 구직자는 고용 동향 마이크로데이터로 업종별 고용 변화를 파악해 취업 전략을 세울 수 있습니다.

2) 자영업자는 소비자물가지수 API를 통해 가격 책정과 재고 관리를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3) 학부모라면 지역별 인구 피라미드를 참고해 학군·주거지를 전략적으로 결정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통계청 데이터는 각자의 상황에 맞춘 ‘맞춤형 의사결정 도구’로 거듭나고 있습니다.


🌐 국제 비교

OECD 평균 청년 고용률은 56.7%이며, 한국은 11.6%p 낮습니다.

유사 경제 규모인 독일·캐나다의 직업 교육 인프라와 비교하면, 현장형 훈련 부족이 두드러진다는 지적입니다.

청년 고용률 추이

▲ 이미지 출처 : 연합뉴스 그래픽

통계청은 내년부터 ‘K-스킬 매칭 DB’를 구축해 전공·직무 코드 연계를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전문가 목소리

“정확한 통계는 정책의 나침반입니다. 통계청이 제공하는 마이크로데이터를 토대로 지역·산업 맞춤 대책을 세워야 합니다.”
― 이정훈 한국노동연구원 연구위원

한편 청년 단체들은 ‘데이터로만 보는 고용’이 아닌, 현장 체감도 반영한 종합 대책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 앞으로의 과제

실시간 현장조사 확대로 지연 없는 통계 제공
데이터 리터러시 교육 강화로 국민 활용도 제고
민관 협력을 통한 정책 피드백 루프 구축

통계청이 ‘국가데이터처’로 재탄생한 만큼, 정확성·투명성·활용성의 ‘세 마리 토끼’를 모두 잡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 기자 한마디

치열해진 노동시장 속에서 통계청 데이터는 더 이상 전문가의 전유물이 아닙니다.

누구든지 데이터를 읽고 이해하는 순간, 미래를 예측하는 힘을 얻게 됩니다.

국가데이터처가 그 길잡이가 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