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국혁신당을 둘러싼 성비위 논란이 ‘최강욱 녹취’ 공개 정국으로 이어지면서 정치권에 거센 파장이 일고 있습니다.
지난달 31일 대전·세종 정치아카데미 강연에서 최강욱 더불어민주당 교육연수원장이 발언한 내용이 음성파일 형태로 외부에 유출됐습니다.
녹취록에 따르면 그는 “사소한 문제를 두고 죽고 사는 일로 만들 필요가 없다”는 취지로 언급해 2차 가해 논란이 불붙었습니다.
📌 “검찰개혁의 대의를 흔들어서는 안 된다”1 — 녹취 중 발췌
그러나 해당 발언은 피해자 측 입장과 극명하게 배치돼 거센 역풍을 불렀습니다.
이미지 출처: JTBC News 유튜브 캡처
4일 오전 강미정 대변인은 국회 기자회견에서 “직접 녹취를 확인했다”며 조국혁신당 탈당을 공식 선언했습니다.
그는 “최강욱 의원이 실제로 그런 말을 했다는 사실에 큰 충격을 받았다”며 눈물을 흘렸습니다.
사건의 발단은 8월 초, 당직자 A씨가 상급자 B씨에게 성추행을 당했다며 경찰에 고소장을 제출하면서 시작됐습니다.
당 윤리위는 ‘직무 배제·피해자 분리’ 조치를 발표했지만, 처벌 수위와 재발 방지 대책을 두고 논란이 확산됐습니다.
이미지 출처: 뉴데일리
뉴데일리 단독 보도2에 따르면 최강욱 녹취에는 ‘샤워야 될 일’ 등의 표현도 포함돼 있는 것으로 전해집니다.
이 같은 비유적 표현은 성비위 사안을 가볍게 치부했다는 비판을 자초했습니다.
민주당 지도부는 즉각 진화에 나섰으나, 당내 여성·청년계 의원들은 “명백한 2차 가해”라며 공식 사과와 징계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당 관계자는 “녹취 진위를 추가 확인 중”이라면서도 “사실로 드러날 경우 윤리심판원 회부”를 시사했습니다.
한편, 조국혁신당 내부에서도 강미정 탈당 이후 ‘책임 공방’이 거세지고 있습니다.
일부 당원은 “지도부가 피해 호소인을 보호하지 못했다”며 집단행동을 예고했고, 다른 세력은 “정치 공세로 호도된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습니다.
“피해자의 2차 피해를 막는 것이 최우선 과제다.”당권파 핵심 인사
전문가들은 다단계 책임이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 김미영 박사는 “최강욱 녹취는 조직문화 개선 없이 발생하는 ‘침묵의 카르텔’을 보여준다”며 외부 조사·상시 상담채널을 주문했습니다.
SNS에서도 ‘#최강욱_사퇴’ 해시태그가 빠르게 확산 중입니다.
반면, 몇몇 지지층은 “정치적 의도가 섞인 흠집내기”라고 반발하며 양측의 온라인 공방이 격화되고 있습니다.
법적 관점에서도 쟁점은 분명합니다.
형법상 모욕·명예훼손, 성폭력처벌법의 업무상 위력에 의한 추행 여부, 그리고 업무방해까지 동시 검토가 불가피하다는 게 법조계 시각입니다.
🗝️ 관전 포인트
- 민주당 윤리위의 징계 수위 결정 시점과 내용
- 조국혁신당의 피해자 보호·재발 방지 대책 실효성
- 2026 총선을 앞둔 진보진영 재편 가능성
결국 이번 “최강욱 녹취” 사태는 성인지 감수성과 정치적 책임성이라는 두 축을 시험대에 올렸습니다.
향후 수사 결과와 당내 징계 과정이 조국혁신당·더불어민주당의 신뢰 회복 여부를 좌우할 전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