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news.nateimg.co_.krorgImgtr202507031d95fb49-42a5-4c8b-be33-cda52b9a5df3.jpg

📰 치지직(Chzzk)이 2025년 국내 인터넷 방송 플랫폼 시장의 새로운 주인공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네이버가 2023년 말 선보인 치지직은 트위치 코리아 철수 이후 가장 강력한 대체 플랫폼으로 주목받았습니다.

출범 1년 반 만에 월간 활성 사용자(MAU)가 700만 명을 돌파하며 게임·버튜버·e스포츠 분야에서 눈부신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치지직은 시청자·창작자·광고주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All-in-One 생태계’를 만들겠다는 비전을 내걸고 있습니다.” – 네이버 게임 CIC 관계자*


첫째, 네이버 아이디 통합 덕분에 별도 회원가입 절차 없이 네이버 로그인 → 시청으로 이어지는 낮은 진입장벽이 강점입니다.

둘째, 1080p·60fps 무료 송출과 초저지연 모드실시간 채팅 품질을 트위치 대비 크게 개선했습니다.

셋째, 창작자는 ‘스타트 구독(월 4,900원)’·‘슈퍼챗 타입 응원’ 등으로 수익원을 다양화할 수 있으며, 수수료 20 % 수준으로 업계 최저를 자랑합니다.


치지직 메인 로고
▲ 이미지 출처: 네이버 게임 CIC

현재 버튜버, e스포츠 중계, 인디 게임 개발자까지 가세하며 커뮤니티가 폭발적으로 확장되는 중입니다.

특히 VTuber ‘묘하’·‘한유채’ 등 인기 스트리머들이 대거 이적하면서 콘텐츠 다각화가 본격화됐습니다.


다음은 치지직 사용법을 한눈에 정리한 리스트입니다. ✅2025.10 기준

  • 시청자 – 네이버 로그인 후 게임·엔터·토크 카테고리 선택
  • 크리에이터 – ‘내 채널 개설 → OBS 기본 설정 → RTMP URL 입력’ 3단계면 송출 완료
  • 모바일 – iOS·안드로이드 전용 앱 출시로 푸시 알림 실시간 대응

치지직 라이브 썸네일
▲ 이미지 출처: Chzzk 라이브 썸네일 캡처

네이버는 올해 안에 AI 실시간 통역·TTS 기능을 적용해 글로벌 시청자 유입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동시에 크리에이터 전용 데이터 애널리틱스 대시보드를 공개해 시청 패턴·수익 추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시장조사업체 웨이브나인은 “치지직 광고 매출은 2024년 320억 원에서 2026년 1,000억 원 규모로 세 배 이상 성장할 것”이라 전망했습니다.

이는 ‘네이버·라인·스노우’로 이어지는 글로벌 광고 네트워크와의 결합 효과가 본격화되기 때문입니다.


물론 과제도 있습니다. 저작권 관리, 커뮤니티 가이드라인 강화, 서버 비용 최적화 등 꾸준한 투자와 규제가 병행돼야 합니다.

특히 음악 스트리밍e스포츠 중계권의 라이선스 협상이 플랫폼 성장의 ‘리스크 요인’으로 지목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치지직은 “국산 플랫폼 최초 글로벌 1억 MAU”라는 목표를 향해 속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사용자 경험, 창작자 수익 모델, AI 추천 알고리즘 3박자가 맞물리며 인터넷 방송 트렌드를 다시 쓰고 있다는 평가입니다.


결론적으로, 트위치 이후 대안을 찾던 한국 게이머·스트리머에게 치지직은 ‘선택’이 아닌 ‘필수’ 플랫폼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앞으로도 치지직의 진화는 국내 IT·콘텐츠 산업 전반에 큰 파급력을 미칠 전망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