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news.nateimg.co_.krorgImghk2025070301.41006351.1.jpg

🚍 버스는 매일 1,500만 명 이상이 이용하는 대한민국 대중교통의 핵심 이동 수단입니다.

최근 국토교통부와 환경부가 ‘친환경 버스 전환 로드맵’을 발표하면서 전기·수소 버스가 화두에 올랐습니다.


1. 전기버스🔋 보급 현황

올해 전국에서 운행 중인 전기버스는 8,200대*1로, 작년 대비 32% 증가했습니다.

전기버스
이미지 출처: Unsplash

서울시는 2026년까지 시내·광역노선 전체의 50%를 무공해 차량으로 교체하겠다고 밝혔습니다.


2. 수소버스🌱 확산 정책

수소버스는 긴 주행거리와 짧은 충전 시간이 강점입니다. 정부는 2030년 누적 3,000대 도입을 목표로, 충전소 인프라를 200곳 이상 확보할 계획입니다.

2025년까지 1시간 내 접근 가능한 수소충전망을 전국에 구축하겠습니다” –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


3. 💺 저상·무장애 버스 확대

교통약자를 위한 저상버스 도입률은 75%를 넘어섰습니다. 휠체어 탑승 설비음성 안내 시스템도 지속 개선됩니다.


4. 요금 동향(2025년)

서울·경기 지역 시내버스 기본요금은 지난 8월 300원 인상되었습니다. 권역별 정기권 “TT카드” 도입이 검토 중입니다.


5. 광역·M버스 좌석 예약 서비스

수도권 M버스 53개 노선이 사전 좌석 예약 시범 운영에 들어갔습니다. 모바일 앱 ‘M-Ticket’을 통해 최대 3일 전 예약이 가능합니다.


6. 공항 리무진 최신 정보✈️

한국공항리무진은 인천공항 제2터미널 노선을 24시간 연장 운행하며, ‘새벽 프리패스’ 요금제를 출시했습니다.


7. 지역 관광 버스 🏖️

강원 동해시티투어버스는 10월~11월 주말 임시 정차 서비스를 제공해 가을 단풍 관광객을 맞이합니다.


8. 새로운 버스 문화🍽️

태국 방콕 ‘버스 푸드 투어’ 상품이 한국 여행객 사이에서 인기를 끌며, 인터파크 국내당일버스여행 검색량도 함께 증가했습니다.


9. 지능형교통시스템(ITS) & AI

국내 17개 광역지자체가 AI 기반 실시간 배차·혼잡도 예측 서비스를 도입해 평균 대기시간을 18% 단축했습니다.


10. 스마트 정류장 🚏

서울 강남·송파에 설치된 스마트 쉘터는 미세먼지 저감 필터, 무선 충전, IoT 온도 조절로 체감 만족도가 4.7점을 기록했습니다.


11. 교통카드 팁💳

T머니·캐시비 외에도 QR 교통서비스가 시범 도입돼, 스마트폰만으로 버스·지하철 환승 할인이 가능해졌습니다.


12. 자율주행 버스 로드맵

세종시 BRT 구간에서는 레벨4 자율주행 버스가 상용화 직전 단계입니다. 정밀 지도·V2X 통신 규제 특례가 적용됩니다.


13. MaaS(Mobility as a Service) 전망

광역 환승 할인, 카셰어링, 공공자전거를 한 번에 결제하는 ‘원패스’ 앱이 2026년 전국 출시를 목표로 통합 테스트에 돌입했습니다.


14. 이용자 행동 데이터📊

KT 모빌리티 연구소 분석 결과, 버스 앱 평균 체류시간은 5.8분으로, 지하철 앱보다 21% 길었습니다. 이는 정류장 대기 시간이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됩니다.


15. 결론 및 전망

친환경, 디지털, 편의성 3박자를 갖춘 버스 혁신은 이미 시작되었습니다. 정부·지자체·민간의 협업이 이어진다면 대중교통 만족도는 한층 높아질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