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cdn.imweb_.methumbnail202505099308327eb6353.png

카이스트 총장 이광형 총장이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JMS‧정명석 관련 질의를 받으면서 파장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24일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 열린 국감에서 의원들은 “여러 차례 JMS 행사에 참석했다”는 의혹을 집중 추궁했습니다. 이 총장은 “과거 강연 요청을 받고 참석했을 뿐, 종교적 연계나 포섭은 없었다”고 해명했습니다.

“저를 포섭하려 했다가 실패한 사례” – 이광형 총장


이번 논란은 카이스트 총장의 공적 신뢰도와 과학계 리더십을 가늠하는 시험대로 평가됩니다. 카이스트 내부에서는 “학교 위상이 흔들려서는 안 된다”는 분위기가 팽배합니다.

국감 현장 사진
출처=MBC 뉴스

총장 임기는 이미 2월 말 종료됐으나, 차기 총장 선임 절차가 7개월 넘게 지연되고 있습니다. 학내 구성원들은 “공백이 길어질수록 연구·교육 현장의 불확실성이 커진다”고 토로했습니다.

실제로 카이스트 총장 선거는 후보 검증과 투표, 교육부 승인 등 다단계 절차를 거칩니다. 그러나 이번에는 연구실 화재 사고·세계대학평가 순위 하락 등 악재가 겹치며 일정이 미뤄졌습니다.


과학계는 “투명한 검증조속한 선출”을 요구합니다. 한 교수는 “차기 총장은 국제 공동연구와 반도체·우주항공 전략을 진두지휘할 글로벌 리더십이 필수”라고 강조했습니다.

학생 사회도 가세했습니다. 총학생회는 “학생 복지 예산 증액”과 “연구 윤리 강화”를 새 총장 공약 1순위로 요구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이광형 총장은 국감장에서 “밥값 1000원만 더 올려달라”는 발언으로 화제가 됐습니다. 🍳

국감장에서 발언 중인 이광형 총장
출처=머니투데이


JMS 논란과는 별개로, 카이스트 총장 자리에는 현재 4~5명의 후보군이 거론됩니다. 이들은 모두 세계적 학술지 논문·산학협력 실적을 앞세워 지지를 호소하고 있습니다.

교육부 관계자는 “승인이 지연될 경우 KAIST 운영법 개정 검토까지 거론될 수 있다”면서 “연말 이전 선임이 목표”라고 밝혔습니다.

전문가들은 과학기술계의 신뢰를 회복하려면 카이스트 총장윤리성·혁신성·소통 능력이 핵심이라고 입을 모읍니다. 특히 AI·양자·우주 등 국가 전략 기술을 선도해야 할 책임이 막중합니다.


한편 일각에서는 “총장이 외부 강연활동과 공공직 참여에 과도하게 몰두했다”는 비판도 나옵니다. “감투 수집가”라는 별칭이 생길 정도로 겸직 이슈가 불거졌습니다.

정치권 관계자는 “과학계 수장 자리인 만큼 정치·종교 문제로 소모적 공방이 반복돼선 안 된다”고 지적했습니다.

향후 일정은 이사회 심사→교원·직원 투표→교육부 승인 순으로 진행될 예정입니다. 이해관계자들은 “11월 중순 최종 후보 압축” 가능성을 점칩니다.

결국, ‘과학으로 국가를 이끄는 대학’이라는 카이스트 위상은 새로운 총장이 어떤 비전과 도덕성을 제시하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