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cdn.imweb_.methumbnail202505099308327eb6353.png

🚨 캄보디아 사건이 연일 이슈로 떠오르면서 한국 사회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최근 시아누크빌·보코 힐 지역을 중심으로 잇따라 보고된 납치·감금·사망 사고는 단순한 해외 사건이 아닌, 우리 국민의 안전과 직결된 문제입니다.


첫 번째 파문은 2025년 8월, 20대 여성 두 명이 ‘고수익 아르바이트’를 미끼로 캄보디아에 입국했다가 연락이 끊기면서 시작됐습니다. 당시 피해자들은 여권이 압수된 채 온라인 불법 도박 사이트 운영을 강요당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어 JTBC 단독 보도에 따르면, 10월 16일 국경 인근에서 숨진 채 발견된 30대 여성 B씨는 이들을 현지로 데려간 ‘모집책’으로 드러났습니다. 공범은 텔레그램을 통해 “다음은 네 차례”라며 협박 메시지를 보냈다고 전해졌습니다.


캄보디아 사건 현장 사진 이미지 출처 : JTBC 뉴스

학계에서는 이 사건을 ‘디지털 인신매매’로 규정하며, 보이스피싱·로맨스스캠 조직이 인력 착취를 위해 한국인을 표적화하고 있다고 분석합니다. 실제로 경향신문 취재 결과, 피해자 다수는 ‘장(통장) 모집’에 이용된 뒤 범죄 가담자로 몰려 추가 피해를 입었습니다.

캄보디아 현지 변호사 이돈호 씨는 “한국인은 중국계 조직 내부에서 ‘고가 매물’로 분류돼 1인당 수천만 원에 거래된다”라고 밝혔습니다.

“현장에서는 총책 → 상담원 → 감시원으로 이어지는 수직적 구조가 형성돼 있습니다. 피해자는 착취 대상이자 잠재적 공범으로 전락합니다.” – 이돈호 변호사

사태가 악화되자 경찰청은 16일 “코리안데스크를 시아누크빌 경찰청 내에 설치하고 전담 수사관 5명을 추가 파견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외교부 또한 24시간 비상 콜센터를 강화해 선제적 대피 안내를 실시 중입니다.


그러나 구조만으로는 한계가 있습니다. 해외취업 사기에 노출된 청년층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정부 관계자는 “출국 전 고용허가서(E-visa)·근로계약서 진위 확인을 의무화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특히 보이스피싱 숙주 회사는 ‘콜센터 직원·IT 개발자’ 등으로 위장해 잡포털에 공고를 내고, 문자·SNS를 통해 ‘월 700만 원 급여’를 강조합니다. 구두 계약만으로 출국하는 사례가 많은 만큼, 취업 준비생들의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피해자 구조 장면 이미지 출처 : 경향신문

피해자 지원 관련 법률도 정비됩니다. 법무부는 ‘해외범죄 피해자 보호법’ 개정안을 예고하며, 귀국 항공료·의료비·심리 치료비를 국가가 선지급하는 방안을 추진 중입니다.

한편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피해자도 범죄에 가담했다”는 비난과 “취업 사기 피해자를 2차 가해해서는 안 된다”는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정확한 사실 관계 확인이 우선이라며 섣부른 판단을 경계했습니다.


📝 해외 취업·여행 안전 체크리스트

  • 고용허가서·초청장 등 원본 서류 확인
  • ② 캄보디아 사건 관련 외교부 여행경보 단계 수시 확인
  • 출국 전 여권 사본·보험증권을 가족·지인에게 공유
  • ④ 현지 도착 즉시 대사관 영사 콜+ 24시간 번호 저장
  • ⑤ 의심 연락은 112 또는 118(사이버 범죄)에 즉시 신고

국제사회도 움직이고 있습니다. ASEAN 경찰기구(ASEANAPOL)은 11월 중순 ‘동남아 인신매매·사이버범죄 공동대책회의’를 개최해 정보 공유 시스템 구축을 논의할 예정입니다.


캄보디아 사건은 단순 해외 사건이 아닌, 글로벌 사이버범죄 생태계와 맞물린 복합적 위협입니다. 정부·기업·개인이 함께 대응해 “예방 → 구조 → 지원”의 전 과정을 촘촘히 마련할 때 비로소 피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라이브이슈KR은 앞으로도 캄보디아 납치·감금 사건의 수사 진행 상황과 제도 개선 과정을 지속적으로 추적·보도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