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최대 15개국에 상호관세(Reciprocal Tariff) 인상을 통보하는 서한을 한국시간 8일 새벽 1시부터 순차 발송할 것이라고 예고했습니다.
📌 핵심 키워드 : 트럼프 관세, 상호관세 서한, 8월 1일 발효, 한국 수출 영향, 무역협상
1️⃣ 타임라인 — 7일(현지시각)부터 서한 발송 → 9일까지 협상·연장 여부 결정 → 8월 1일 관세율 발효 예정입니다.
사진=AFP·JoongAng Photo, 재배포 금지
2️⃣ 대상 국가 — 미국·영국·베트남은 이미 합의, EU·일본·한국 등 12~15개국은 막판 협상 중입니다.
3️⃣ 관세율은 10%~70%로 예고됐으며, 중국산 일부 품목엔 145%가 이미 부과되었습니다.
4️⃣ 한국 업종별 리스크 — 철강·자동차·배터리·반도체가 1차 타깃입니다. 업계는 ‘물량 조정·생산지 다변화’ 전략으로 대응 중입니다.
“협상이 실패하면 자동차 관세 25% 가능성도 있다.” — 美 상무장관 하워드 러트닉
5️⃣ 금융시장 반응 — 달러 강세·원화 약세가 동반되며 KOSPI 대형 수출주가 일시 조정 받았습니다. 다만 로이터는 “온건 시나리오가 이미 가격에 반영됐다”고 평가했습니다.
사진=Reuters·BBC News, 재배포 금지
6️⃣ 협상 변수 — 상호관세 유예 연장은 “없다→가능성 있다”로 수차례 번복됐습니다. 포브스 집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관련 발언을 24번이나 번복했습니다.
7️⃣ 국내 정부 대응 — 산업통상자원부 고위급 대표단이 워싱턴으로 급파됐고, 민간 특사로 김종인 전 비대위원장 내정설이 돌고 있습니다.
8️⃣ 기업 체크리스트
- 계약서 관세·인코텀즈 조항 즉시 재검토
- 미국 내 재고 조기 선적→8월 1일 이전 통관 완료
- 미국 외 생산기지 부품 조달 비중 확대
- 환헤지 한도 상향, 달러 현금 비중 확대
- 기업설명회(IR)에서 관세 리스크 명시
9️⃣ 소비자 영향 — 하반기 스마트폰·가전·운송비용 인상 압박이 우려됩니다. 특히 전기차는 보조금과 관세 정책이 충돌해 가격 변동성이 커질 전망입니다.
🔟 전망 — “협상 타결 60%, 단계적 관세 30%, 전면 관세 10%”가 시장 컨센서스로 제시됩니다. 글로벌 투자은행들은 “11월 美 대선을 앞둔 정치적 카드”라는 분석을 내놓았습니다.
결론 — 트럼프 관세는 단기적 충격보다 협상 지렛대 성격이 짙습니다. 한국 기업은 8월 1일을 ‘데드라인’으로 삼아 가격 전략·공급망 재편을 서둘러야 합니다. 정부·업계·투자자 모두가 유기적으로 대응한다면, 이번 관세 파고는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