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신의 전용 플랫폼 트루스소셜(Truth Social)에 남긴 글이 다시 한 번 국제사회를 뒤흔들었습니다.
“한국에서 숙청과 혁명이 일어나고 있다”며 “그런 상황에서 사업을 할 수 없다”는 발언은 한미정상회담을 불과 몇 시간 앞두고 올라왔습니다.
ⓒ Nate News
해당 게시글은 업로드 10분 만에 좋아요 20만 건·공유 7만 건을 기록하며 ‘트럼프 SNS’가 주요 포털 실시간 뉴스 페이지를 점령했습니다.
“동맹의 미래를 논의하기 전, 먼저 현실을 직시하라.” – 트럼프 SNS 발언 중
한국 정부는 “정상회담 의제와 무관하다”고 선을 그었으나, 금융·산업계는 리스크 관리에 분주했습니다. 실제로 OCI홀딩스·씨에스윈드·한화솔루션 등 재생에너지주는 하루 사이 최대 11% 변동을 보였습니다.
ⓒ 매일경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주에도 “태양광·풍력은 세기의 사기극”이라며 친환경 정책에 직격탄을 날렸습니다. 그의 SNS 메시지가 글로벌 증시에 미치는 실질적 영향력은 여전히 건재해 보입니다.
같은 날 그는 메이저리그 전설 로저 클레멘스에 대해 “즉시 명예의 전당에 헌액돼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정치·경제에서 스포츠까지, 전방위 메시지를 쏟아내며 미디어 어젠다를 장악하는 전략이 돋보입니다.
ⓒ 스포츠경향
전문가들은 이를 ‘디지털 외교 압박 카드’로 해석합니다. 협상 직전 트럼프 SNS를 통해 압도적 여론을 형성, 상대국에 심리적 부담을 주는 방식입니다.
트루스소셜의 월활성사용자(MAU)는 약 800만 명으로 추정됩니다. 규모만 보면 트위터·페이스북에 못 미치지만, 정치 고관여층 비율이 63%에 달해 ‘확성기 역할’을 톡톡히 합니다.
SNS 기반 정치커뮤니케이션은 현실 정책으로 직결됩니다. 일례로 ‘방위군 투입’ 논란도 트위터가 아닌 트루스소셜에서 시작돼 주지사와의 설전을 촉발했습니다.
한국 정부 관계자는 “발언의 진의·맥락을 면밀히 파악 중”이라며, “디지털 채널을 통한 외교 변수가 급증하고 있음을 체감한다”고 밝혔습니다.
IT 업계에서는 “대선 시즌이 본격화되면 트럼프 SNS의 트래픽이 최소 2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합니다. 이에 따라 글로벌 플랫폼 규제·콘텐츠 모니터링 이슈도 다시 불거질 가능성이 큽니다.
ⓒ 연합뉴스
결국 이번 트럼프 SNS 발언은 외교·경제·산업·여론을 한 번에 움직이는 ‘디지털 파급력’을 재확인시켰습니다. 정상회담 이후 구체적 합의가 나오더라도, 그 결과를 해석하는 첫 관문은 다시 그의 SNS 피드가 될 전망입니다.
라이브이슈KR은 향후 트루스소셜 업데이트와 관련 정책 변화를 지속 추적하며, 트럼프 SNS가 만드는 글로벌 이슈를 심층 분석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