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03_1843_모던한 라이브이슈KR 로고_simple_compose_01jwtjnbhnfrmr2ew2618jjkdz

🛠️ 포스텍(POSTECH)이 창립 40주년을 맞아 ‘Deep Tech & Green Growth’ 비전을 발표했습니다.


포항공과대학교는 1986년 개교 후 짧은 역사에도 QS 세계대학평가 공과대학 20위권에 꾸준히 이름을 올렸습니다.

특히 기계공학과·산업경영공학과·생명과학과가 최근 5년간 SCI 논문 피인용 수에서 국내 1위를 기록했습니다.


작지만 강한 연구중심대학이라는 정체성을 유지하면서도, 탄소중립·AI 바이오 융합 연구로 산업 변화를 선도하겠습니다.” – 김무환 포스텍 총장


이번 학기부터 ‘AI-X Initiative’가 본격화돼, AI 반도체‧자율주행‧디지털 헬스케어 등 10개 분야에 1,200억 원이 투자됩니다.

또한 탄소중립실증캠퍼스가 정부 과제로 선정돼, 캠퍼스 전력 70%를 태양광·수소연료전지로 공급하는 실험이 진행 중입니다. 🌱


📌 포스텍 입학·장학제도 핵심 정리

  • 정시‧수시 합산 400명 내외 소규모 선발
  • 전원 기숙사 제공, 등록금 전액 장학 혜택(소득 연계)
  • 포스코 글로벌 인재장학으로 해외 교환·복수학위 1,000만 원 추가 지원

포스텍 중앙도서관 전경ⓒ Wikimedia Commons

지난주 개관한 ‘POSTECH-POSCO 인공지능연구관’은 24시간 개방형 실험실 구조로 설계돼 산학협력을 극대화했습니다.

삼성전자·현대차·엔비디아 등 30여 개 기업이 입주해 대형 GPU 팜3D 프린팅 팹랩을 공동 활용합니다.


🧬 생명과학과 고아라 교수팀은 구강세균-대사증후군 상관관계를 규명해 Nature Medicine 2025년 10월호 표지를 장식했습니다.

이는 포스텍 바이오 오픈이노베이션 센터의 첫 스핀오프 기업 ‘포바이오’ 시리즈A(400억 원) 유치에도 직접적인 촉매가 됐습니다.


🚀 미래형 캡스톤디자인 ‘Hyperloop Challenge’에는 기계공학·전자전기공학·산업경영공학 학생 120명이 참여해 최고 시속 670km 시험주행에 성공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스페이스X Hyperloop Pod Competition 아시아 예선 통과를 목표로 합니다.


포스텍 기계공학과 실험실ⓒ 포스텍 기계공학과

포스텍은 ‘오픈캠퍼스 2025’ 일환으로 디지털 트윈 캠퍼스를 구현해 실시간 에너지·안전 데이터 9,000만 건을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시설 유지비 17% 절감, 학생 안전사고 23% 감소 효과가 보고됐습니다.


📊 산업계 평판도 역시 고공행진 중입니다. 대한상공회의소 설문에서 “채용하고 싶은 대학 1위”에 선정됐으며, 평균 취업연봉은 6,200만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특히 포스텍-포스코 ‘취업연계형 계약학과’ 졸업생은 입사 후 5년 내 임원 승진률 4.8%를 기록했습니다.


🗓️ 앞으로의 일정

  1. 11월 5일: POSTECH Open Lab Day – 고교생 및 학부모 대상
  2. 11월 20일: Green Steel Forum – 탄소중립 제철 기술 공동 심포지엄
  3. 12월 2일: AI 산학연 전략 콘퍼런스 – 글로벌 50개 기업 참여

🎯 요약하면, 포스텍AI·친환경·바이오 삼각축으로 국내외 연구계와 산업계를 연결하며 ‘미래산업 허브’로 거듭나고 있습니다.

라이브이슈KR는 향후 포스텍 입시 변화·연구 투자 추이를 지속적으로 분석해 독자 여러분께 전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