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news.nateimg.co_.krorgImghk2025070301.41006351.1.jpg

🌏 홍콩이 본격적인 포스트 팬데믹 회복 궤도에 올라서면서, 한국 방문객 유입이 눈에 띄게 늘고 있습니다.


1️⃣ 입국 & 비자 – 한국 국적 여행객은 최대 90일 무비자 체류가 가능하니, 사전 전자비자 신청 부담이 없습니다.

단, 전자검역 신고는 여전히 요구되므로 항공 탑승 48시간 전 온라인 등록을 권장합니다.


2️⃣ 환율 & 통화 – 홍콩달러(HKD)는 미 달러와 페그제고정환율로 연동돼 있습니다.

최근 달러 약세로 원·홍콩달러 환전 이점이 커져, 옥토퍼스 카드 충전에 유리한 시점입니다.


3️⃣ 교통 혁신 – 공항에서 도심까지 24분 만에 이동하는 에어포트 익스프레스가 다시 10분 간격으로 복구됐습니다.

💡 MTR 전 노선이 QR코드 승차권을 도입해 카카오·애플 월렛으로 바로 탑승할 수 있습니다.


4️⃣ 숙박 트렌드 – 침사추이의 ‘쉐라톤 홍콩 호텔 & 타워’가 AI 컨시어지 서비스를 선보이며 업무·레저 동시 수요를 흡수하고 있습니다.

객실 점유율은 80%대를 회복했으며, 오션 뷰 패키지는 주말 조기 매진이 빈번합니다.

쉐라톤 홍콩 외관이미지 출처: Marriott International


5️⃣ 테마파크 리오프닝홍콩 오션파크워터월드가 전 구역 가동을 재개해 가족 단위 여행객이 급증했습니다.

⏰ 온라인 사전 예약 시 패스트트랙 옵션으로 평균 대기 시간을 40% 단축할 수 있습니다.

홍콩 오션파크이미지 출처: Ocean Park Hong Kong


6️⃣ 디즈니랜드 확장월트 디즈니 100주년을 맞아 ‘월드 오브 프로즌’ 존이 11월 정식 오픈했습니다.

티켓 등급별 캘린더가 개편돼 1일차-저가, 2일차-프라임 같은 혼합 구매 전략이 가능해졌습니다.


7️⃣ 미식 신(scene) – 미슐랭 3스타 ‘룽킹힌’을 비롯한 고급 광둥 요리뿐 아니라, 셩완 지역 스트리트 푸드가 한층 세련돼졌습니다.

특히 ‘우육면×탄탄면 하이브리드’ 메뉴가 SNS 바이럴 🔥을 타며 여행 필수 코스로 부상했습니다.


8️⃣ 쇼핑 혜택 – ‘쇼핑 페스타 2025’ 기간(11.1~12.31) 동안 총 25만 HKD 상당 경품 이벤트가 열리니, 영수증 합산을 기억해야 합니다.

DFS·하버시티 등 주요 몰에서 즉시환급 서비스가 시범 운영돼 현장 부가세 환급 대기 시간이 사라졌습니다.


9️⃣ 비즈니스 환경

Shopify Payments

홍콩 법인에 암호화폐 USDC 결제를 공식 지원, 스타트업 창업 비용이 15% 절감될 전망입니다.

컨벤션센터에서는 12월 ‘Web3 Asia Summit’이 개최되어, K-게임·핀테크 업체 참가 문의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 안전 & 영사 서비스 – 주홍콩 대한민국 총영사관은 24시간 영사콜센터(+82-2-3210-0404)와 현지 긴급전화(+852-…)를 운영합니다.

홍콩 수요저널 등 교민매체가 실시간 사건·사고를 전달하니, 텔레그램 채널 구독으로 안전 정보를 수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전문가 Tip홍콩 체류 3일 이상이라면 옥토퍼스 카드에 ‘Airport Express Travel Pass’를 연동하면 교통비를 최대 35% 절약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짐 보관 공유 서비스’ Bounce를 이용하면 홍콩역 기준 HK$19에 여행 동선을 가볍게 만들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홍콩 현지 시각은 한국보다 1시간 느려, 귀국 항공편 체크인 시간을 혼동하지 않아야 합니다.

포스트 코로나 이후에도 변함없는 스카이라인 야경과 진화한 도시 서비스가 어우러져, 홍콩은 다시 한 번 ‘아시아의 세계도시’ 위상을 증명하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