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03_1843_모던한 라이브이슈KR 로고_simple_compose_01jwtjnbhnfrmr2ew2618jjkdz

🌟 북미 플라이퀘스트(FlyQuest)가 2025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롤드컵) 스위스 스테이지 1라운드에서 디펜딩 챔피언 T1과 맞붙습니다.

이 매치는 지역 자존심을 넘어 LCS의 국제 경쟁력을 가늠할 리트머스 시험지로 꼽힙니다.


■ 플라이퀘스트 2025 주요 로스터

Impact|정글 Spica|미드 Viktor ‘Fate’ 한|원딜 Berserker|서포터 IgNar*

지난 시즌 ‘완성형 로스터’로 평가받았던 주전 5인이 모두 재계약에 성공했습니다. 경험 많은 베테랑과 젊은 피가 조화롭게 섞여 있는 것이 강점입니다.


1️⃣ 탑 라이너 Impact – 국제전 영웅의 노련미

Impact는 2013년 SKT T1 시절부터 국제 대회 경험이 풍부합니다. 라인전 안정감과 한타 포지셔닝이 뛰어나, T1의 변칙적 탑 로테이션을 흡수할 수 있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플라이퀘스트 로고
출처: Riot Games


2️⃣ 정글러 Spica – 초반 주도권 설계의 핵심 🧭

Spica는 빠른 캠프 클리어와 갱킹 타이밍을 무기로 북미 최상위 정글러 자리를 지켰습니다. T1 ‘Oner’와의 동선 심리전이 이번 경기의 승부처로 떠오릅니다.


3️⃣ 미드 Fate – 다재다능 챔피언 폭으로 변수 창출

Fate는 레넥톤·아지르·카서스 등 메타 불문 다채로운 픽을 소화합니다. Faker의 라인 압박을 유연한 로밍으로 상쇄할 수 있을지가 포인트입니다.


4️⃣ 봇 듀오 Berserker·IgNar – 교전 특화의 ‘맞불’

Berserker는 KDA 5.8을 기록하며 LCS 서머 스플릿 화력 1위를 차지했습니다. IgNar는 과감한 이니시에이팅으로 ‘서포터 각성형’이라는 별칭을 얻었고, LCK 출신 Keria와의 대담한 노림수 싸움이 관전 포인트입니다.


🎯 전술 키워드: 드래프트 유틸성 & 객관적 전투력

  • 플라이퀘스트는 블루 사이드 기준 니달리·렝가·시비르를 우선 밴하며 조합 밸런스를 맞춥니다.
  • 초중반 오브젝트 컨트롤 비율이 64%로 LCS 1위2025 정규시즌를 기록했습니다.
  • T1은 빠른 텔레포트 합류로 스노우볼을 굴리기에, 플라이퀘스트는 ‘상체 전령 퍼스트’ 전략을 통해 밴티지를 확보할 계획입니다.

■ 최근 성적 & 분위기

플라이퀘스트는 LCS 서머를 15승 3패승률 83.3%로 마치며 지표상 북미 최고 팀이었습니다. 플레이오프 결승에서는 Cloud9을 3:1로 꺾고 통산 두 번째 우승을 거머쥐었습니다.

특히 국제전 경험이 부족했던 Berserker가 파이널 MVP를 수상하며 스위스 스테이지 기대감을 높였습니다.


■ T1전 승리 조건

  1. 상체 2:2 교전에서 최소 균형 유지
  2. 30분 이전 대지·화염 드래곤 스택 3회 이상 확보
  3. 서포터 IgNar의 창의적 시야 플레이로 Faker의 스플릿 운영 차단

데이터에 따르면 플라이퀘스트는 드래곤 2스택을 획득한 경기에서 83%의 승률을 기록했습니다.


■ 전문가 한마디

“북미가 한국 팀을 상대로 약세였던 건 사실입니다. 하지만 스위스 스테이지는 단판제여서 한 번의 변수가 경기 양상을 완전히 바꿀 수 있습니다. 플라이퀘스트는 그 변수를 만드는 데 특화된 팀입니다.” – 전 LCK 분석가 김도현


■ 팬덤 반응 👍

Threads·X·인벤 등 커뮤니티에서는 ‘북미 희망’, ‘T1의 천적 후보’라는 댓글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물론 ‘무시할 수 없는 상대지만 여전히 열세’라는 현실론도 나오며, 경기에 대한 기대감이 최고조에 달했습니다.


💡 결론적으로, 플라이퀘스트는 안정된 로스터와 예측 불가 픽 밴 설계로 T1을 위협할 수 있는 잠재적 다크호스입니다. 북미 대표가 아시아 강호를 넘어설지, 2025 롤드컵 첫날부터 전 세계 팬들의 시선이 스위스 스테이지로 집중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