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를 둘러싼 한·미 협상이 타결 임박 단계에 접어들었습니다.
29일 경주에서 열린 정상회담 직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우리는 합의를 이뤘다”1)고 밝혔습니다.
이번 관세협상은 중대형 트럭·자동차 부품·철강 제품 등 제조업 핵심 품목을 포함합니다.
정부 소식통은 “대미 수출기업 3,200여 곳이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는다”라고 설명했습니다.
“협상 타결 시 자동차 부품 25% 관세가 단계적으로 5%까지 인하될 가능성이 높다.” – 산업부 고위 관계자
이 발언은 국내 부품사 주가를 즉각 끌어올렸습니다 📈.
반면, 미국 내 철강업계는 ‘일자리 감소’를 우려하며 로비 강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관세 인하가 소비자물가에 미칠 효과에도 주목합니다.
한국무역협회 장효정 연구위원은 “부품 단가 하락이 완성차 가격 조정으로 이어질 수 있다”면서 “물가 안정에 긍정적”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이미지 출처: 한국경제
한편 관세청은 ‘대미 중대형 차량 품목번호 연계표’를 공개해 기업의 HS 코드 오류 리스크를 줄였습니다.
또 중소벤처기업부는 ‘관세 대응 수출바우처’ 3차 공고를 통해 컨설팅·서류대행 비용을 최대 5,000만원까지 지원합니다.
업계는 협상 타결 시점을 ‘APEC 정상선언 직후’로 전망합니다.
관세가 실제로 내려가려면 미국 의회의 통상확대법 301조 절차가 남아 있어, 내년 1분기부터 단계적 적용이 유력합니다.
기업이 지금 해야 할 세 가지를 정리했습니다.
- HS 코드 재점검 – 관세청 연계표 활용으로 과세 위험 최소화
- 원가 시나리오 – 예상 관세율별 가격 전략 수립
- FTA·IRA 연계 – 동시 활용해 이중 혜택 극대화
📌 Tip : 관세사랑방 등 전문 커뮤니티에서 eURC·PSR 변경 사례를 확인하면 실무에 도움이 됩니다.
무역업계 관계자는 “이번 관세협상이 글로벌 공급망 재편의 시금석”이라며 “친환경차·배터리 분야까지 확장될지 주시해야 한다”라고 말했습니다.
라이브이슈KR는 협상 타결 결과와 기업별 영향 분석을 지속 업데이트할 예정입니다.
독자 여러분의 실시간 질문은 댓글·메일로 받고 있으니 적극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
